디콘볼루션 절차에 의한 돈분 열분해의 탈휘발화 속도: 바이오 오일 수율과 숯 가스화
- 전문가 제언
-
○ 고형 돈분 열분해처리는 액체 연료전환을 위한 유망한 기술로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열분해 액체는 바이오-오일로 다양한 열 전환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석유계 연료의 대체 후보물질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 열분해기술은 열역학적 변환기술로 무 산소 조건 아래서 350 - 500℃의 고온에서 고형 돈분, 폐목 등의 폐기물 바이오매스를 열분해하는 것으로 온도, 승온율, 반응시간 등에 의해서 열분해 산물(바이오 오일, 바이오 숯 및 바이오가스) 수율이 변동된다.
○ 액상 바이오-오일 특성은 자원화에 대단히 중요하며, 액상 바이오-오일의 수율과 성질은 원료의 처리공정, 종류와 조건 및 생성물 수거효율에 따라서 다르다. 열분해는 느린 열분해와 빠른 열분해로 구분되며 전자는 체류시간이 길고 승온율이 낮으며 후자는 반대이다.
○ 고형 돈분 열분해에서 생성된 액상산물의 특성을 검토하고 경제, 환경적인 모든 측면을 만족하는 액상 연료와 화학원료로 변환시켜야 하며, 액상 바이오 오일의 이화학적 성질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열 중량 분석(TGA)을 적용하는 역학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바이오매스는 액상 연료, 고형 연료 및 화학 제품재료 등의 석유 대체물질로 다양하게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 축분 바이오매스에 의한 발전시설의 가동률 향상을 위해서는 원료공급이 대단히 중요하다.
○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다양한 에너지 변환기술 가운데 열화학적 전환방법인 열분해공정에서 바이오매스의 액상 바이오오일 변환은 대체에너지 혹은 화학원료로 이용이 가능한 생성물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기술로서 글로벌하게 진행 중에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고형 축분 열분해처리에 따른 액상 바이오오일 수율에 관한 연구 성과가 현재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Bojan Jankovic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38()
- 잡지명
- Fuel Processing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13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