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머시닝센터에 의한 고정밀/고능률 가공기술

전문가 제언

자동차, 반도체 제조장치, 전자부품 등과 같은 비교적 큰 사이즈의 부품 및 금형 부문에서도 최근에 와서 높은 가공 정밀도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춰 일본 Mitsubishi 중공업에서 개발한 고정밀도 문형 머시닝센터 LH250의 특징은 일반 머시닝센터 및 대형기에서 가공하기 어려운, 그 보다 약간 작은 중간 사이즈의 공작물을 높은 정밀도와 고능률로 가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더욱이 특수한 기능을 갖춘 새로운 장치를 개발하여 공장 환경을 크게 바꾸지 않고도 높은 정밀도의 가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고정밀도 가공에서는 공구 및 가공물 측정을 기계상에서 가공을 진행하며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때 사용하는 방식이 촬상식 공구 측정 시스템에 의한 것이다. 기계가 냉각된 상태에서 측정을 실시한 후 다시 가공을 시작하면 그때의 열 변위가 그대로 가공 오차에 포함되어 버리고 만다. 그래서 단지 운전을 하고 나서 작업자의 숙련된 판단에 의해 측정을 실시하는 것이 종래의 방식이었다. 촬상식 공구 측정 시스템은 이러한 휴먼 에러를 제거시키기 위해 고해상도 CCD 카메라에 의해 공구 날 끝의 열 변위를 비롯한 움직임을 최적화한 측정방식이다.

 

국내 머시닝 센터 및 공작기계 메이커들은 엔진 실린더 불록 및 헤드 등 새롭게 변화되는 자동차 부품 소재 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축이나 구조물 등에 대한 개발을 통해 국내외 자동차 시장에 초점을 맞춰 가는 노력을 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하이브리드 및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 등의 등장을 통해 자동차 시장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경제의 어려움이 커져, 상황은 머시닝 센터 시장도 예외는 아니다. 더구나 자동차 산업이 어려움은 머시닝 센터를 비롯한 공작기계 시장의 위축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에서 각 업체들은 더욱 더 기술개발을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 더욱 요구되는 국내 초정밀 금형산업 및 휴대폰, 컴퓨터 등의 초고속, 초정밀에 맞춘 기술개발을 어떻게 할 것인가는 업체의 장래를 좌우할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저자
Yoshikatsu Sat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52(3)
잡지명
三菱重工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7~51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