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평 머시닝 셀에 의한 대형 엔진 부품가공

전문가 제언

트럭이나 버스에 사용되는 13,000급의 대형 엔진 부품을 전 공정에 걸쳐 가공할 수 있는 머시닝센터는 아직까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와서 전용기를 포함한 전용 가공라인을 구축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엔진 부품으로서 대표적인 실린더 블록(cylinder block) 및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를 가공할 수 있는 수평형 머시닝센터(horizontal machining center)를 일본 Mitsubishi 중공업에서 개발하였다. 크랭크 구멍가공을 할 수 있는 길이가 긴 보링 공구를 자동 교환할 수 있으며, 보수성, 자동화 및 인력절감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머시닝 셀(machining cell)은 양산 라인에 적합하도록 특화시킨 머시닝 센터(machining center)로서 특히 생산성, 신뢰성,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양산 라인 및 셀 생산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실린더 블록 특유의 크랭크 구멍가공 사례를 기술하였다. 상호기능 팀(CFT: Cross Functional Team)을 편성해서 설계만이 아니라 조립, 조달, 생산관리 구성원들도 참여하는 가치공학(VE) 기법을 사용해서 고객의 입장에서 분석하고 그 달성 수단에 대한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모아서 최적 해법을 찾아내었다.

 

국내의 대표적인 머시닝 센터 메이커로는 화천기계와 두산인프라코어 등이 있다. 두산인프라코어는 2015105일부터 10일까지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유럽 국제공작기계전시회(EMO) 2015”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회에 신제품 총 22기종의 첨단 공작기계들을 전시하였으며, 특히 국내 최초로 개발한 수평형 동시 5축 머시닝 센터를 세계시장에 처음으로 선보였다. 화천기계는 공작기계 생산 반세기 동안 축적한 정밀가공 기술 노하우를 기반으로 자동차 엔진블록 및 엔진헤드를 직접 가공하여 국내외 주요 자동차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다.

 

공작기계는 기계 산업의 중추적인 위치이다. 대형이며 고정밀도가 요구되는 머시닝센터야말로 그 나라의 기계공업 실력을 말해주는 바로미터이다. 현재는 양과 질에서 중국과 일본에 뒤지고 있지만, 머지않은 장래에 옛날의 그 자리를 되찾을 날이 올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저자
Yohei Komatsu, Keisuke Yoshikawa, Hiroyuki Wakamoto, Kazuto Nakamura, Hidefumi Omokaw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52(3)
잡지명
三菱重工技報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19~24
분석자
심*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