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포장용 한천 필름의 강도 및 내수성 향상

전문가 제언

다당류의 일종인 한천은 환경 친화적으로 대량 재배가 가능한 해조류로부터 안정된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흥미로운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의 하나로 주목을 받고 있다. 한천 필름을 유망한 잠재용도 분야의 하나인 식품 포장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산소, 수증기 등과 같은 기체 차단성 및 물성 향상이 관건이다.

 

여기서 소개한 한천/로커스트 콩 검(Locust Bean Gum, LBG) 블렌드 필름도 그중 한 사례로 일종의 갈락토마난(galactomanan)인 한천에 비해 저가인 LBG를 첨가하면 한천 용액의 제막 특성 및 필름의 강성을 대폭 개선하고 수증기 차단성도 일부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인장신율 및 수증기 차단성에 있어서는 일반 범용 식품 포장재인 PPLDPE에 아직도 못 미치고 있어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 연구 사례로는 최근에 인도의 Amravati Univ.에서 한천/Ag 나노복합재료 필름이 과일의 보존기간 연장에 유효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Nanobiotech, IET, 8(4), pp.190195, 2014). 이밖에도 한천/녹차추출물의 항균성(Spain, 2014), 한천/키토산(Malaya, 2012) 및 한천/PVOH(Mexico, 2011) 블렌드 필름의 특성을 연구한 논문들이 있다.

 

국내에서는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임종환 교수가 한천/k-카라기난/나노클레이 및 한천/셀룰로오스 나노결정 나노복합재료 필름의 식품 포장에의 적용가능성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Carbohydrate Polym., 110, pp.480488, 2014).

 

참고로 전 세계 한천 생산량은 5,700톤 정도이며, 우리나라가 그 12%680톤 정도를 생산하고 있다. 한천은 상당히 고가(50,000/Kg)로 식품을 비롯하여 의약품, 미생물 배지, 화장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업계 1위인 일본의 이나식품이 전 세계 시장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한천 제조업체로는 밀양한천을 비롯한 경남, 전남 지역에 34개소가 있으며, 제주발전연구원에서 제주산 우뭇가사리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자
Ana M. M. Sousa, Maria P. Goncalve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32()
잡지명
Carbohydrate Polyme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96~204
분석자
박*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