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년생 호밀풀의 glyphosate 저항성 기작
- 전문가 제언
-
○ Glyphosate에 대한 저항성은 발현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glyphosate를 계속하여 사용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여러 상황에서 저항성 잡초가 출현되는 결과가 낳았다. 잡초에서 작용점 저항성 기작은 EPSPS 효소의 Pro-106 위치에서 돌연변이(효소변형) 혹은 EPSPS 효소의 과대발현으로 초종 내에서 glyphosate 저항성이 발현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 호밀풀에서 glyphosate 저항성은 아르헨티나와 뉴질랜드에서 보고되었으나 이들 초종에서 glyphosate 저항성 기작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저항성 호밀풀 J형과 O형 집단은 감수성 집단보다 각각 7.4배, 25.1배 더 높은 저항성을 나타냈다.
○ 호밀풀 집단 O형과 J형은 모두 제한된 제초제 이행에 의한 저항성 기작을 보였지만 O형 집단은 Pro-106 위치에서 작용점 저항성 기작을 나타냈으므로 작용점 저항성 기작과 제한된 제초제 흡수를 보이는 O형 집단은 J형 집단과 비교하여 저항성 수준이 높을 것이다.
○ 호밀풀은 유럽원산으로 아시아, 북아메리카, 시베리아까지 널리 분포하며 우리나라는 1945년 이후 목초 또는 사방용으로 재배한 것이 야생화하여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glyphosate는 비농경지에 계속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호밀풀을 비롯한 야생식물에서 glyphosate에 대한 저항성 발생을 모니터링 할 필요성이 있다.
- 저자
- Hossein Ghanizadeh,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71()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617~1622
- 분석자
- 변*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