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관리에 있어서 생물다양성 가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전문가 제언

생물다양성은 건전한 생태계의 초석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생물다양성 보존은 환경관리 분야에서 중요한 목표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생물다양성 평가는 여러 관리전략에 대해 취사선택문제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환경 관리결과에 대한 비용과 이득에 대한 양적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 평가가치 면에서 경제적, 사회문화, 그리고 생태기지수 접근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토의하였다. 그리고 이들 세 관점 간에 상호작용을 토의하면서 이들을 EBM 프레임워크로 통합할 것을 제의했다. 전체적 프레임워크에서 사회문화 선호는 사회에 관련한 생태계 서비스를 식별하는 도구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금전적 가치평가는 전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고 이해 가능한 가치를 제공해준다.

 

생물다양성 지수는 정량적 측정 및 생태계의 기능과 건강에서 생물다양성의 역할에 관해 정보를 분명하게 제공해준다. 다수 목적 EBM 접근방법에서 생물다양성 지수는 가치의 문턱으로 정의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것은 건전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의사결정 기준의 적절한 세트(set; 집합)과 의사결정 분석을 수행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의문이 있는 전후 정황과 관리문제에 달려있다.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에 대해 환경관리를 평가할 때, 네 가지 단계를 밟을 것의 제안하고 있다. 환경관리의 주목적은 건전하고 지속적인 생태계를 달성하고 유지하는 것이다. 여러 요인이 함축되어 내포하고 있는 환경 관리문제는 프레임워크로 접근한다면, 생물다양성을 포함하는 생태계 문제를 어느 정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다. 따라서 한국도 환경관리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여러 복잡한 요인을 고려하는 지수를 개발하여 비교분석 내지 앞으로 개발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저자
Mirka Laurila-Pant,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5()
잡지명
Ecological Indicator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1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