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암 치료용 항체-약물 결합체: 약물-생물제제 혼성제의 합성기술 개발과 규제에 관한 도전과제

전문가 제언

항체-약물 결합체가 2세대 치료 약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부터이다. 이후부터 항체-결합체와 관련된 기술은 급속히 성장되어 왔으며, 현재 다양한 질병을 대상으로 치료용 결합체가 개발되어 승인을 받거나 질병 치료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특히 주목을 받는 항체-약물 결합체의 대상 질병은 암 질환이지만 이 질환의 치료용 결합체는 아직 개발이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암 치료용 결합체의 합성 및 기능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해 오고 있다.

 

항체-약물 결합체의 반응기작은 크게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되고 있다. 이를테면 항원인지 및 결합, 세포내 진입과 이동, 표적물에 약물을 방출하는 과정이다. 결합체 기능 면에서 볼 때 첫 단계의 중요성 때문에 항원에 대한 연구개발이 집중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인체 내에서 특정 항원만을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머지않아 특정 종양세포 항원의 탐색을 가능하게 하는 게놈 분석기술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 기술을 통한 항원 자원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면 그에 상응하는 항체의 개발속도도 훨씬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항체-약물 결합체의 체내 약리적 특성과 약물의 효능 등은 항체와 약물을 연결하는 연결고리(linker)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결합체를 개발하는데 있어 연결고리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효율적인 결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항원, 항체뿐 아니라 연결고리도 결합체 구성의 주요 요소로 고려되어야 한다.

 

앞으로 10여 년 후에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암 질환 저분자 약물치료제가 항체-약물 결합체로 대체될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글로벌 항암제 시장(84조 원)을 선점하기 위해 국내뿐 아니라 많은 국가의 제약 산업체에서는 암 질환 치료용 항체-약물 결합체의 개발을 위해 치열한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각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특히 신약개발 및 승인과 관련된 행정 규제 의 최소화는 결합체의 개발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Gregory S. Hamilt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43()
잡지명
Biologic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18~332
분석자
정*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