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안데스와 멕시코의 생물다양성으로부터 새로운 친환경 항균 및 살생물제 선발

전문가 제언

친환경 생물농약은 합성유기농약 대신 살충, 살균, 제초제와 같은 용도로 동식물이나 광물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생물농약은 화학농약처럼 속효성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대항 해충에만 효과를 나타내는 선택성을 갖고 있으며 살아있는 미생물을 이용한 미생물농약과 천연화합물을 추출하여 생약방제제로 이용하는 생화학 농약으로 구분된다.

 

환경 친화적인 생물농약은 2012년 기준 세계 농약시장의 약 3.3%15.49억 달라 수준이며 2017년까지 매년 15.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데 주요 성장요인은 낮은 연구개발 비용, 유기농산물시장 증가, 인구증가 등이다. 2009년부터 주요 국제적 농약회사들도 천연식물 보호제 분야에 많은 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식물의 추출 정유를 이용한 제품의 확대와 생물학적 종자처리제 시장의 급속한 신장도 환경 친화적 생물농약의 성공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서의 친환경적 생물학적 방제연구는 1995년 농촌진흥청에 의해 처음으로 추진되었는데 천적을 이용한 해충방제 연구결과 총 34종이 확인되었으며 칠레이리응애, 콜고마니진디벌, 온실가루이종벌 등 22종이 상업화되었다. 환경 친화적 생물농약 및 천적의 등록 및 품목 지정을 위해서는 농약관리법에 따라서 약효 및 약해시험, 인축독성시험, 환경 생물독성시험, 경시변화시험 기준을 통과하여야 하며 이외에 이화학적 특성 및 잔류성 검사를 거처야 한다.

 

국내에서도 환경 친화적 농약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2010년 기준으로 생물농약을 이용한 농산물의 생산비중이 전체농산물의 5%였으며 매년 50%씩 성장하고 있는데 생물농약은 2013년 기준으로 1,2341,435억 수준이었다. 국내 친환경농산물 시장은 2010년도에 2조원을 기록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는데 친환경농업에 필요한 생물농약 및 생물학적 천적의 확산을 위해서는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국가적 차원의 지원과 연구 및 품질관리가 필요하다.

 

저자
Carlos L. Cespedes, Julio Alarcon, Pedro M. Aqueveque, Tatiana Lobo, Julio Becerra, Cristian Balbontin, Jose G. Avila, Isao Kubo, David S. Seigle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42()
잡지명
Environment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49~562
분석자
황*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