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슬러지, 퇴비 및 기타 유기성 물질에 의한 농지 개량
- 전문가 제언
-
○ 하수처리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각종 유기질 화합물과 고체입자로 구성된 에멀션 물체로, 슬러지의 부적절한 배출 또는 불확실한 처리는 심각한 환경파괴와 온실가스 발생과 같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유럽에서는 이의 처리방안으로 지금까지 소각 및 매립되어온 유기성 폐기물을 농지 개량제로 활용하고 있고, 이는 농지에 필요한 무기성 비료를 줄이고 토질의 보존과 복원을 제공해 준다.
○ 그 동안 화학비료 위주의 시비관리는 토양 염류의 과잉 집적이나 양분 밸런스 붕괴, 토양 물리성의 악화, 토양 미생물상의 단순화 등을 초래해서 지력(땅 힘) 저하의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최근 유기물 사용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지력 증진을 위한 토양개량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①하수슬러지, 퇴비 및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특성 규명과 이의 농지 적용에 따른 유해성과 유익성에 대한 잠재력의 평가 ②문헌 및 규제치와 측정치와의 비교 및 ③농지에 사용될 유기성 폐기물 및 퇴비의 품질한계와 관련 규범의 재정립의 필요성을 목표로 한다.
○ 생활폐기물과 오폐수 슬러지의 발생량이 다른 선진국에 비해 월등히 높은 우리나라로는 이들의 위생적이고 환경 친화적인 처리가 이슈화되고 있다. 하수슬러지의 혐기성 소화반응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에 대한 연구는 다수 발견되고 있지만, 토양 개량제로 하수슬러지, 퇴비 및 유기성 물질의 활용에 대한 정량적인 자료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본고에서와 같이 하수슬러지 및 유기성 물질에 대한 이화학적인 특성, 중금속 농도, 병원성 미생물 및 이들의 토양 적용에 따른 안전성과 독성지수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Paula Alvarenga, Clarisse Mourinha, Marcia Farto, Teresa Santos, Patricia Palma, Joana Sengo, Marie-Christine Morais, Cristina Cunha-Qued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0()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4~52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