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응고 금속(semisolid metal) 처리법으로 주조한 AZ91 합금의 내식성 향상

전문가 제언

금속 용탕을 주형에 주입하는 방식의 전통적 Mg 합금 주조법은 높은 기공률, 성분의 편석, 낮은 기계적 강도 등의 약점을 피하기 어렵다. 이런 문제들의 해결 방안으로 최근 반응고 금속(SSM: Semisolid Solid Metal) 처리가 주목받고 있다. SSM처리는 합금을 고액 공존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교반하여 액상 매질 속 고체 입자들을 분산시킴으로써 응고 후 합금의 미세조직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SSM 처리한 AZ91 합금의 미세조직과 부식 거동의 관련성을 조사한다.

 

AZ91 합금을 중력 주조(AZ91GC)SSM처리(AZ91RC)의 두 경로로 주조하여 3.5wt.% NaCl에서의 부식 거동을 비교 조사한 결과 전자의 부식 속도가 후자의 15배인 것이 밝혀졌다. 원인 규명을 위해 EIS, OM, SEM, XRD, SKPFM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합금의 미세조직과 부식거동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후자의 경우 교반으로 인해 파괴된 수지상 α-Mg 기지가 구상 미립자 조직으로 변하고, 그것들을 둘러싼 촘촘한 그물 모양의 상이 부식의 전파를 막는 것이 밝혀졌다.

 

주로 Al 합금에 적용되어 온 SSM처리법은 2000년대 초부터 Mg 합금에도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몇 종류의 SSM처리법 중 본 연구에서는 반응고 상태에서 교반하여 주조하는 레오캐스팅(rheocasting)법을 채택하였다. 지금까지 교반속도, 냉각 속도, 고상분율, 온도와 같은 작업변수들에 대한 연구는 많았지만, 부식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현재는 AZ91 합금 미세조직의 a-Mg, b-Mg17A12, 공정상 간의 Al 농도 차와 b상의 역할 등이 Mg-Al계 합금 부식 연구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03년에 서울대와 포항대의 AZ91D 다이캐스팅 조업변수와 SSM의 점도 간 관계에 대한 공동연구, 2005년에 서울대와 재료연구소의 AZ91HP의 레오캐스팅 온도, 시간, 교반속도와 합금 경도 간의 관계에 대한 공동연구가 있었다. 그 밖에 몇 건의 유사연구가 있었지만 SSM처리 Mg합금의 부식에 대한 연구는 한 건도 등록된 바 없다. SSM처리는 Mg합금의 큰 약점 중 하나인 내식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므로 앞으로 그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저자
B. Mingo, R. Arrabal, M. Mohedano, A. Pardo, E. Matykina, and A. Riv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162(4)
잡지명
Journal of Electochemical Socie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80~188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