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섬유 폐수에서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법을 이용한 염료의 비교 탈색

전문가 제언

섬유 염색공정에서 이용된 다량의 물은 액체 오염물질을 생성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섬유 폐수는 적절한 처리없이 배출되면 환경에 가장 유해한 폐수가 되고 있다. “섬유 폐수에서 생물학적 및 화학적 처리를 이용한 염료의 비교 탈색을 주제로 하는 본 연구는 혐기성(Anaerobic) 생물학적 순환식반응조와 펜톤(Fenton) 공정에 의거 섬유 폐수로부터 염료의 탈색, COD 및 탁도의 제거 효율을 조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최대 색도 제거 효율이 100% 농도 폐수 샘플에 대해 pH3으로 펜톤 공정에서 기록되었으나 87%의 최대 화학적 산소요구량 제거 효율은 순환식 반응조에서 관찰되었음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pH3의 펜톤 시약이 색도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고, 순환식반응조가 화학적 산소요구량 제거에 효율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는 엄선된 처리공정이 섬유 폐수의 탈색에 매우 유망할 수 있고 실제적으로 실행이 가능할 수도 있음을 강조한다.

 

섬유 염색 공정에서는 여러 종류의 염료가 사용되어 유독성 및 유해성 화학물질과 오염물질을 함유한 염색 폐수가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어 커다란 환경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섬유염색 폐수는 사용되는 약품과 염료의 특성상 생물학적 분해 및 산화가 어려운 난분해성 폐수로 분류되고 고도처리의 적용도 쉽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난분해성 염료 유기물을 제거하여 탈색하거나 독성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폐수처리기술이 개발되거나 새로운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염색폐수는 탈색이 잘 되지 않는 염료가 다량으로 함유되어 기존 기술에 의한 섬유염색 폐수처리, 특히 염료의 탈색에 어려움이 있다. 국내에서는 재래의 섬유염색 폐수처리방법으로 물리적/화학적/물리·화학적/생물학적 방법이 이용되어 왔으나 기술 면과 경제 면에서 선진국에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섬유염색 폐수처리 기술의 연구가 중요하고 특히 본 연구에서 시사된 바와 같이 펜톤(Fenton)공정과 생물학적 방법이 결합된 시스템에 의한 효과적, 경제적 처리기술의 적용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지원이 있어야 한다.

저자
Huma Hayat,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54()
잡지명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9~153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