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변화가 실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건강 위험; 영국의 사례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는 수자원, 생태계, 산업 및 에너지, 농업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온상승으로 인한 기상재해와 폭염일 수의 증가는 열 스트레스, 알레르기 유발물질, 곤충매개 감염병과 수인성 감염병 등을 통해 건강에도 위험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특성도 아열대화 되어가고 있고 이로 인해 과거에 없던 질병의 발생과 확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모기, 진드기와 같은 매개곤충의 서식범위가 확대되어 매개체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들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예상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토대로 미래 예측되는 질병들의 예방과 확산방지 대책들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도 대기오염 물질들의 암, 호흡기질환, 아토피 피부염 등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사례들이 있으나, 실내 환경조건과 실내 거주자들의 연령이나 행동특성을 고려하여 건강위험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사례는 없는 실정이다.

 

앞으로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인, 환자들이 장시간 머무는 학교, 요양원, 병원, 어린이집과 같은 시설들의 실내공기 질 측정과 거주자들의 오염노출 수준을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실내공기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들이 국내에서도 연구되어야 한다.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건축물들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건축물의 밀폐성이 강조되고 이로 인해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들의 배출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구조, 밀폐수준, 환기시스템 등에 따라 실내 거주자들의 열 스트레스나 실내공기 오염으로 인한 건강위험들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온실가스의 배출을 억제하는 측면에서 볼 때, 에너지를 소비하는 환기시스템을 사용하여 실내공기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보다 건축물 내장재, 생활용품, 가구 등에서 발생되는 실내공기 오염물질들을 줄이려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저자
Sotiris Vardoulaki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85()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9~313
분석자
양*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