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침입종 나도바랭이새의 진화된 증거

전문가 제언

나도바랭이새는 그늘과 가뭄 스트레스에 표현형 가소성을 나타내는 집단이며, 그와 같은 가소성은 나도바랭이새가 관찰되는 미소환경과 일치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전략은 침입 잠재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으며, 침입집단의 빠른 유전적 변화와 진화적 적응은 생물적 침입에서 더욱더 고려되고 있다.

 

나도바랭이새의 도로변 도처에 발생은 인간에 의한 이동이 분포에 거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확실하다. 주어진 지역에서 새로운 나도바랭이새의 계속된 이동과 도입을 통하여 변이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식물 혹은 새롭게 도입된 식물 간의 잡종화를 통하여 변이는 증가될 것이다. 그와 같은 재조합은 주어진 비생물적 환경에 더 적합한 표현형을 생산하기 위하여 잠재적으로 자연선발을 하도록 하는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생성할 수 있다.

 

나도바랭이새는 광과 질소에 반응하여 환경적으로 유기된 광범위한 표현형 변이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변이를 보이는 환경에서 정착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인정할 수 있으며, 나도바랭이새의 빠른 적응은 정착 및 전파 면에서 매우 중요함이 입증되었다.

 

나도바랭이새는 제주, 경남, 경북, 강원, 경기, 평안북도 지역의 도랑 근처, 숲 가장자리, 산지의 길가에 무리지어 자라는 일년생 식물이며, 가축사료 및 녹비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나도바랭이새에 대한 생태 및 진화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므로 식물자원으로서 나도바랭이새의 생리, 생태 및 이용 등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촉구하는 바이다.

 

저자
L. H. Ziska, M. B. Tomecek, M. Valerio and J. P. Thomps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5()
잡지명
Weed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60~267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