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경량화 재료 차체와 가공기술

전문가 제언

자동차 연비개선의 경쟁은 점차 치열함이 증가, 내연기관의 연비개선 기술이나 하이브리드 차와 같은 전동화 기술과 차량의 경량화도 중요한 연비개선기술로 자리매김 되어 자동차 메이커에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차량의 경량화 수단은 구조의 최적설계나 고장력강판의 적용에 의한 것이 주류이지만, 이들이 한계에 다다라 플라스틱(수지), 경금속합금(알루미늄합금, 마그네슘합금, 티타늄합금 등) 등의 경량 재료 적용이 점차 증가해 갈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경량화로 연비의 향상은 물론 환경 부하의 경감을 위한 노력이 세계 자동차 메이커 각사는 회사의 사활을 걸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이런 상황 하에서 일본의 자동차 메이커가 2016년을 목표로 그린 프로그램을 설정, 즉 제로방출 차의 보급, 저 연비 차의 확대, 카본 푸트프린트의 최소화, 새롭게 채굴하는 천연자원의 최소화를 위한 계획을 발표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한 자동차에 다양한 경합금재료를 사용한 다종재료(multi-material) 차체개발과 이에 적용된 재료들의 가공기술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다종재료 차체에의 적용에는 외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 부위부품, 즉 프런트 펜더, 백 도어, 라디에이터서포터, 연료탱크 등에는 수지 재를, 파워트레인의 경량화에는 구조개선과 경금속의 적용이다.

 

이와 같이 자동차의 경량화는 구조 개선에 의한 부품 일체화(모듈화)로 부품 수의 삭감과 일체화 된 부품의 가공기술의 개발, 새로운 경량합금(티타늄합금, 마그네슘합금, 탄소섬유강화수지 등)의 차체에의 적용이다. 구조 개선이나 새로운 경량금속의 적용은 반듯이 실험을 통한 안전과 안정성이 확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적용에는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하다.

 

저자
S. FJIKAWA, H. KAMBE and A. MIZUTAN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56(654)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15~519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