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CNT함량의 페인트 및 겔코트
- 전문가 제언
-
○ 겔코트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가시표면의 고급품질 마감재 또는 상도용으로 사용되는 소재다. 내수성, 내후성, 기계적 특성과 화학적이 우수하여 제품의 기능보호와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성형물 보호용으로 사용되며 대부분의 겔코트는 에폭시나 불포화 폴리에테르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 최근 나노입자는 IT(정보기술), 바이오, 화학,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나노소재인 탄소나노튜브(CNT)는 차세대 먹거리 창출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세계 각국은 기업은 물론 정부까지도 CNT 사업화를 위해 힘을 쏟고 있다.
○ 이 발명은 레이더 흡수 물질(anti-radar coatings, RAM=radiation absorbing materials), 코팅제의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한 풍력 블레이드나 항공기 날개의 결빙 방지, 전자 차폐와 전도성 코팅 등에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나노튜브(CNT)를 고도로 충전한 페인트 및 겔코트에 관한 것이며, 고농도 CNT로 인해 점도가 높아 작업시간이 길고 작업성이 떨어지는 페인트 및 겔코트 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 이 발명에서는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수-분산 마스터배치(예로 Arkema의 상품명 “Graphistrength CW2-45”) 등을 사용하고 CNT 분산을 위해 물이나 유기용제와 같은 용제를 이용하며 적절한 점도에 이르기까지 에폭시나 폴리우레탄(PU) 같은 열경화성 수지가 첨가되고 흡수되며 기공 생성, 흐름현상(sagging)이 최소화되도록 경화시간과 용제(가급적 물)의 증발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국내의 경우, 한화케미칼은 CNT의 대량제조기술을 개발하고 고전도성 도료 및 고분자복합 소재를 출시하였고 효성, LG화학 및 제일모직 등도 CNT 대량제조기술 및 전도성 복합소재에 관한 상품화 연구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고 발명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재료가 이미 상품화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어 이 발명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 다만 겔코트를 이용한 RAM, 결빙 방지 및 전자 차폐와 전도성 코팅 등 새로운 용도개발에 대한 발상은 참고할 만하다.
- 저자
- RE-TURN AS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5504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5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