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국가 환경 목표로 한 중국 자동차 산업

전문가 제언

자동차 산업의 발달과 함께 세계 각국은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으며, 미국의 각 주에서는 배출 가스 엄격히 통제되고 있어, 바이오 연료의 사용과 함께 배기가스의 재순환을 포함한 개조에 대한 연구 개발과 분진 산화 촉매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EU를 포함한 유럽의 선진 여러 나라에서도 바이오 연료의 사용과, 배기가스 규제는 강화되고 있어, 이산화질소나 분진 물질 배출 감소에 주력하고 있다.

 

중국은 경제성장과 함께 자동차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동차의 환경오염 억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로 전기자동차와 경량화 자동차의 두 축으로 친환경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다. 2015년 기준으로 보면 전기 자동차는 약 50만 대가 되는데, 이는 전체 자동차의 0.27%에 해당하는 것으로 아직은 미미한 수준이다.

 

친환경 전기 자동차의 구체적인 방안으로 배터리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의 방법이 강구되고 있으며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리튬배터리가 대표적으로 연구개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병행하여 친환경을 목표로 바이오연료와 천연가스 같은 저 탄소 원의 연료를 추천하고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친환경 축으로 경량화 자동차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기존의 철강 소재를 알루미늄, 플라스틱과 고강도 강 같은 가벼운 소재로 대체하고 있으며, 이런 경량 소재들의 생산 시 청정 생산을 염두에 두어 전 수명 사이클을 통하여 환경 영향을 줄이는 데도 노력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중국의 125개년 계획인 2009-2015년에 COD8%, 배출은 10%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중국에서는 친환경 자동차로 전기자동차와 경량자동차를 두 축으로 발전시켜 나가며 동시에 자동차의 배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자동차용 소재 생산 시의 친환경까지 감안한 친환경의 평가를 하고 있어 이는 우리도 참작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저자
Yijie Li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96()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02~109
분석자
이*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