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티베트고원 Xianshuihe단층대를 따른 산사태 민감성의 정량적 평가
- 전문가 제언
-
○ Xianshuihe 단층(XSF)지역은 제4기 동안 단층활동이 심했고 역사지진이 자주 일어났으며 티베트고원 동부변에 위치한 좌 수향이동 단층시스템이다. 단층지역을 따라서 일어난 대규모 산사태는 엄청난 피해를 일으켰으며 지진 이후에 일어난 두 번째로 가장 중요한 광역재해이다. XSF 지역을 따라 7,339km2의 면적에서 일어난 산사태 목록에는 415개의 산사태가 포함되었고 산사태 민감성을 도면 작성하기 위해서 FR 모델과 WOE 모델을 사용해서 산사태 분포 특성을 평가하였다.
○ 경사각, 경사면 방향, 고도, 플랫폼곡률, 지형 습윤지수, 활성단층까지의 거리, 암상, 연평균강우량, 강까지의 거리, 도로까지의 거리, 연구지역의 NDVI 등 총 11개의 변수가 입력 자료로 분석되었다. 이들 요소들 중 활성단층까지의 거리, 고도, 경사각, 경사면 방향, 암상, 강우량 등이 지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었다. ROC방법을 사용해서 FR, WOE 모델을 이용한 6개의 민감도 평가는 전반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WOE 모델보다는 FR 모델이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 6개의 변수를 이용한 FR 모델과 11개의 변수를 이용한 WOE 모델의 산사태 민감도가 작성되었으며 더 많은 변수를 포함해도 더 좋은 결과를 얻지는 못하였다. 지형수렴, 강우량, 지형 습윤지수 등 강우에 의해 촉발된 산사태와 특히 민감도와 관련된 여러 요소들은 예상되는 패턴이 되지 않았거나 일반적으로 양호한 산사태 위치를 제시치 못하였다. 반면, 활성단층까지의 거리, 경사면방향, 지형확산은 FR 방법에 의해 측정된 가장 좋은 예측변수이었다. 연구지역 내 지배적인 산사태 촉발 메커니즘으로 강우보다는 지진에 이들 요인 조합이 적당함을 지시한다.
○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기상이변에 의해 집중호우가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사태 등 자연재해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의한 산사태 취약지역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적응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와 같이 모델링을 이용한 예측시스템 설계 등이 필요하리라 판단된다.
- 저자
- Changbao Gu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248()
- 잡지명
- Geomorph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93~110
- 분석자
- 박*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