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부분교합에 따른 보행자 탐지를 위한 관심영역 추출 기반 능동윤곽선 모델

전문가 제언

이 연구의 핵심은 보행 패턴을 파악하여 복잡한 도심에서의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Z. LinL. S. Davis, D. M. Gavrila Marco Pedersoli 등이 제안한 바 있는 보행자 추적 관련 선행 연구사례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단계별 알고리즘을 제시한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최근 국내에서 산//연의 깊은 관심과 정부의 집중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무인자동차) 및 스마트 카 개발에 벤치마킹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 시스템) 방법을 이용하여 교통사고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는 지능형 교통사고 분석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바 있다. 교통량이 많고 도로구조가 복잡한 특정 지역의 공간적 경향 분석, 군집 분석 및 군집의 특성 기술, 이웃한 공간 객체와의 연관 분석을 통해 교통사고의 발생위치와 이웃한 공간 객체들과의 연관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특히 보행자의 보행 패턴이나 공간적 수준에 따라 다양한 규칙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규칙들은 교통사고를 예방과 사후처리 정책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자동차 사물인터넷(Internet of Vehicles, Automotive IoT)의 초기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의 중요성이 확산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와 ICT 업체들은 1990년대부터 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글로벌 무인자동차 시장규모는 202523만대, 2050년에는 8,000만대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자동차의 적응순항제어 시스템, 자동주차지원 시스템 등 지능형 스마트 카 기술력이 확산되면서 자동차 산업이 새로운 도약기를 맞이하고 있다. 다양한 도로 및 주행환경에서 자동으로 내비게이션할 수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상용화된다면 교통사고를 피하고 노약자의 이동성을 제공하고 도로용량을 늘리고 연료를 절감하고 가스배출을 저감함으로써 운송시스템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 자율주행 자동차의 시장침투로 인하여 연간 250억 달러의 경제혜택이 있다고 한다. 이에 원천/핵심 기술을 조기에 완료하여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한 기반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저자
Viswajith P. Viswanath, Ragesh N. K., Madhu S. Nai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46()
잡지명
Procedia Computer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45~52
분석자
박*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