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란 커플링제 처리층의 물리흡착 분자
- 전문가 제언
-
○ “접착”은 오늘날의 산업을 떠받히는 기간 기술로 여러 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접착의 편리성, 신뢰성은 비약적으로 향상, 발전하고 용접 등의 기법을 대체해 왔을 뿐 아니라 라미네이트 재료나 복합재료, 더 나아가서는 나노 재료 등 신규 재료의 개발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접착 현상은 접착제 그 자체만이 아니라 다른 재료가 접하는 경우의 계면 일반에 폭넓게 관련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실란 커플링제의 중축합체 형성에 의한 내열성 향상 효과를 실란 커플링제 단독, 그의 중축합체 및 용제 세정 전후의 처리 실리카 입자의 열중량(TG) 분석으로 검토하였다. 실란분자의 유기 작용기 및 습식과 건식 처리방법의 영향도 검토하였다.
○ 접착에는 피착체 표면/접착 계면의 구조나 물성, 더욱이 재료를 복합하는 경우의 많은 현상과도 밀접히 관계되어 있다. 이들은 고분자화학, 물리화학, 계면화학, 레올로지 등의 학문 체계에 관련되어 있고, 최근에는 생물학, 전자공학과의 관련도 깊어지고 있다.
○ 다채로운 응용이나 신규 접착제가 개발되고, 접착 분야가 충실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거기에 전개되고 있는 접착이론의 본질은 전혀 변화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최근 표면/계면 해석 기술과 나노 기술이 현저하게 진보됨에 따라 표면/계면을 원자 레벨 및 나노 오더로 관찰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이것으로부터의 접착을 말하기 위해서는 이들 주변 기술의 진보에 보조를 맞춰 접착을 새로운 관점으로 과학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생기고 있다.
○ 용도나 특화된 접착제 분야는 잠차 한국에서도 크게 확대되고 있다. 이는 자동차, 전자, 정보기술 등의 산업 분야에서 한국이 세계적으로 차지하는 역할을 대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분야를 보면 디스플레이용, 터치스크린 패널용, 전자부품용, 자동차용, 모바일용, 단백질 기반 의료용, 편광 필름용 등의 고부가가치 점착/접착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 저자
- Yoshinobu Nakamur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51(2)
- 잡지명
- 日本接着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2~48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