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텅스텐 함유 고밀도 주조형 PBX 조성에 관한 연구

전문가 제언

화약조성에 함유된 금속입자들은 일반적으로 화약자체보다 훨씬 긴 시간동안 반응하며 밀도를 증가시키고 폭발생성물에 의한 일에 기여한다. 알루미늄을 함유한 용융충전 TNT나 주조형/압축형 PBX 조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공기 중이나 수중에서의 폭풍효과나 열압력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텅스텐을 함유한 주조형 PBX에 대해서는 상당히 제한된 연구만 수행되었을 뿐이다.

 

일본 Nippon Koki Co. LtdH. Kato 등은 2007년 텅스텐을 함유하는 HMX 기반 PBX를 과속폭발(overdriven detonation) 이층구조 성형작약의 내부화약으로 적용하여 제트의 초기속도와 표적관통 속도를 크게 향상시킨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인도 High Energy Materials Research LaboratoryP. Vadhe 등은 RDXHMX 기반 PBX 조성에 함유된 텅스텐과 공정의 용이성, 밀도, 감도(충격/마찰), 폭발속도, 기계적 성질 등에 대한 텅스텐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텅스텐이 첨가된 PBX 조성은 첨가되지 않은 조성[RDX/HTPB(85/15) HMX/HTPB(80/20)]에 비해 충격에 더 둔감한 것으로 밝혀졌다.

 

텅스텐 분말은 폭발반응 구간에서 생성되는 가스상태 물 분자나 일산화탄소 분자와 반응하여 텅스텐 트리옥사이드나 텅스텐카바이드를 만드는 발열반응을 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PBX 조성에 텅스텐을 첨가하면 폭발속도가 감소하는 것은 니트라민을 부분적으로 텅스텐으로 대체하기 때문이다. K-J기법이나 Cook의 기법으로 폭발압력을 개략적으로 계산할 때 RDX/W/HTPB(65/20/15) PBX 조성이 다른 개발조성들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냈다.

 

Vadhe 등의 연구결과는 지하침투탄이나 둔감무기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로 북한의 지하화 된 전쟁시설에 대한 대응수단을 개발하거나 아군을 사고폭발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둔감무기를 개발해야 하는 우리의 현실에서 해당 무기들의 국내 연구개발에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P.P. Vadhe, S. Manickam, N. Rahujade, A. Kondra, U. Prasad, R.K. Sinh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12(3)
잡지명
Central European Journal of Energetic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97~506
분석자
송*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