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알레르기에 대한 푸도믹스 연구
- 전문가 제언
-
○ 알레르기는 어떤 외래 물질과 접한 생체가 그 물질에 대하여 정상과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이고, 알레르겐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항원이다. 알레르기는 근원이 불확실하고 개인과 환경에 모두 영향을 미친다. 알레르겐 단백질은 매우 적은 양으로도 사람에게 빠르고 심각한 해를 주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으므로 식품 알레르기는 건강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된다.
○ 알레르기 반응을 촉발하는 가장 흔한 8가지 식품은 땅콩, 견과류, 달걀, 우유, 어류, 조개, 밀과 간장이다. 식품 단백질은 식품 가공 중에는 화학 또는 물리적 처리에 노출되어 연속적인 구조변화가 일어나 단백질 알레르기 생성성은 늘어날 수 있다.
○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와, CRD/CRIT(Component-Resoved Diagnostics/ImmunoTheraph) 같은 항체를 이용하는 면역화학 기술은 식품 알레르기 진단과 분석에 모두 쓰인다. SPR(Surface Plasmon Resonance) 기술은 잘 알려진 바이오센서 기술이나 알레르겐 검출에 이용하는 것은 10여 년밖에 되지 않는다.
○ PCR(Polymerase-Chain Reaction)을 이용하는 DNA 방법은 매우 민감하고 고속처리에 적합하다. MS 기반 푸도믹스 기술은 신뢰성과 재생성에서 항체 이용 기술보다 중요한 장점이 있지만, 높은 처리량 분석이 어려워 발전이 필요하다. 알레르겐 검출과 정량을 위해 식품산업과 분석실에는 품질보증과 품질관리에 믿을만한 체계가 적용되어야 한다.
○ 푸도믹스는 2009년에야 소비자 삶의 질 향상, 건강 및 지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첨단 기술을 적용하고 통합하여 식품과 영양 부문을 연구하는 분야로 정의되었을 만큼 최신 학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중요성을 인식하여 대학, 연구소와 기업에서 관심을 많이 쏟고 있다. 한국식품연구원은 2015년 9월에 Foodomics : Knowledge and Health 심포지엄을 개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 기술을 이용하여 연구한 논문을 찾아보기 어렵다.
- 저자
- Uro? Anđelkovi?, Tamara Martinovi?, Djuro Jos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4()
- 잡지명
- Current Opinion in Food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92~98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