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계분과 밀짚 혼합물 퇴비화처리의 동적 모델링

전문가 제언

생물계 폐기물의 퇴비화시스템 분석과 설계 방법론으로 사용되는 퇴비화 동적 모델링은 퇴비화 시간과 변화의 관점에서 퇴비화시스템의 제어흐름, 상호작용, 동작 순서 등을 외부 자극으로부터 퇴비화시스템에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퇴비화 프로세스의 복잡한 특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으로 인해서, 퇴비화처리 성과 예측 및 최적화 개선에 도움이 가능한 귀중한 도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미생물 동역학에 근거한 퇴비화처리의 포괄적인 수학적 모델은 두 개의 상이한 미생물 개체군이 포함되고, 두 개의 서로 다른 기질에서 유기물이 대사 작용을 하게 하는데 있다.

 

복잡한 문제를 해석하기위한 모델에 의한 실험을 실제와 비슷한 실제동적인 시스템 모형을 컴퓨터로 모의적 연산을 반복해서 특성을 파악하는 퇴비화 동적 모델링 성과를 실제실험 결과와 비교할 때 유사한 성과를 Kaiser(1996), Seki(2002), De Guardi et al(2001), Li and Jenkins(2003) 등이 얻었으며, 박금주와 홍지형(1999)회분식 퇴비화시스템에서 제어변수의 시뮬레이션에서 비슷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유기물 전환, 산소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기질 온도 및 수분 등의 5종의 역학적 상태 변수에 관한 퇴비화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데이터를 비교에서 모델 애플리케이션은 퇴비화 프로세스 성과에서 매우 양호한 예측을 나타냈다.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과정은 생물학적 처리 과정이므로 미생물 개체군의 수가 중요하고, 유기물 분해과정에 소요되는 적정 산소 공급량이 필요하다. 소요되는 적정 산소량을 효과적으로 공급해 발효열을 제거해야 되므로 통기량을 조절해야 미생물 활성도를 최적 수준에 도달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동시에 이산화탄소의 배출 농도를 감축해야 한다.

 

물계 폐기물의 호기성 퇴비화 처리과정에서 온실가스와 악취가스 배출감축은 흡인식 통기 퇴비화처리를 활용해야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하.

저자
Ivan Petric, Nesib Mustafic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61()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92~401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