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진공 다이캐스팅 기술과 실린더 부록 주조에 적용

전문가 제언

Nissan자동차에서 고진공 다이캐스팅 기술을 개발하게 된 경위, 주된 기반기술 및 이 기술의 일반 다이캐스팅에 적용을 소개하였다.

 

진공 다이캐스팅은 주조하고자 하는 제품을 금형을 사용하면서 합금 용탕을 고압으로 주입하는 과정이 일반 고압 다이캐스팅과 유사하지만 전자기 펌프방식의 진공밸브를 이용하여 금형 내부의 진공도를 최대 10kPa이하까지 제어하면서 주조하기 때문에 기존 다이캐스팅 제품 내부에 발생하는 기포결함을 효과적으로 제어가능한 공법이다.

 

진공 다이캐스팅은 주조품 내부의 기공결함을 제어함으로서 기존 고압 다이캐스팅 및 저압 주조품과 달리 용접과 열처리가 가능하여 형상과 제품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으로는 기존의 하우징류에 한정되지 않고 차체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자제품인 대형 LED/LCD TV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진공 다이캐스팅 기술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관련 원소재, 설비 및 설비관련 소재와 전신재를 대처할 수 있는 주조부품 개발과 관련된 일체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진공에는 저진공, 중진공 및 고진공으로 분류되며 이는 진공도가 각각 100kPa100Pa, 100Pa0.1Pa, 0.110-5Pa의 범위로 알루미늄 제품에서 가스 함량이 2cc이하/100gAl이면 T6열처리와 용접이 가능하며 510CC/100gAl이면 대단히 양호한 품질이라고 할 수 있다.

 

국내 다이캐스팅 시장규모는 2012년에 16,175억 원이며 이중 진공 다이캐스팅 규모는 약 20%2,970억 원으로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10%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관련 제조산업 기반이 취약하고, 핵심인력 자원이 부족하며, 소재관련 고유특허 보유가 적으며, 기초연구 기반이 취약한 문제 등이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과감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Hayashi Kenj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3)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0~35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