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알루미늄합금 압출재의 자동차에의 적용

전문가 제언

자동차의 알루미늄화는 80년대 후반부터 시작, 경량화의 필요성으로부터 매년 그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경량화는 주로 연비배기가스 규제에의 대응과, 안전장비의 충실화에 의한 중량증가의 경감 및 자동차의 운동성능승차감 향상이다. 그리고 알루미늄합금의 단조성형에 의한 서스펜션 기구는 90년대에 처음 자동차의 운동성능승차감향상을 위해 스포츠카에서부터 적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연비배기가스 규제에의 대응과, 안전장비 충실화에 의한 중량증가의 경감이유로 알루미늄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증가해 갈 것이다.

 

알루미늄합금의 단조품은 주로 강도인성이 요구되는 로워 암에 많이 채용되고 있으며, 종래는 고급차에만 채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연비배기가스규제의 대응과, 안전장비 충실화에 의한 중량증가의 경감에 대응하기 위해 중급 차종에도 채용되기 시작하였다. 이는 제조 면에서의 코스트다운도 동시에 얻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합금 재를 자동차부품의 모듈화에 적용하는 예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알루미늄합금의 계열별 특징과 자동차부품에의 적용 예를 소개하고 있다.

 

또 자동차경량화와 연비향상을 위해 고가이긴 하지만 티타늄합금이나 마그네슘합금을 자동차부품 소재로의 적용검토가 많다. 이들 합금 재는 고급차의 특정 부품을 대상으로 검토되어 왔지만, 지구온난화 방지의 관점에서 부품의 경량화가 가일층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작금, 티타늄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도 충분 그의 요구에 대응, 경량화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산 자동차부품에 적용된 티타늄합금의 적용 사례로는 머플러, 배기 계, 엔진밸브, 컨 로드, 현가 스프링, 밸브스프링 리테너, 디젤차의 터보채지의 임펠러 등이며, 마그네슘합금은 주로 포트 휠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경량합금인 비철금속이 자동차부품 소재로의 적용은 앞으로 많은 증가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저자
Kiyofumi ITO and Masaki KUMAGA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56(654)
잡지명
塑性と加工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520~524
분석자
정*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