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대사증후군과 다이어트용 기능성 식품 소재의 일본시장 동향
- 전문가 제언
-
○ 일본의 신규 기능성표시 식품제도(2015. 4)는 소비자청 home page에 37개 품목 중 항대사증후군·다이어트의 관련 기능성을 표시하는 제품이 22개 품목으로 계속 증가되고 있으며 기존 특정 보건용 식품 소재로 확인된 난소화성 dextrin을 비롯해서 특정 보건용과는 다른 성분으로 칡꽃 유래 isoflavone이나 로스힙(Rosa canina L.) 유래 tiliroside 또는 acetic acid 등이 있다.
○ 내역을 보면 내장지방이나 체지방의 저감이나 식사에서 지방 흡수억제, 중성지방 감소 등 지방에 착안한 것이 19품목(이중 5품목은 당 흡수억제 겸함)으로 많고 혈압이 3품목이다. 항대사증후군·다이어트와 관련된 기능을 표시하는 제품은 앞으로 계속 제출될 것으로 생각된다.
○ 당분 흡수억제·혈당치 대응 소재로는 닭의장풀 DNJ/DMDP, 올리브 잎 oleuropein, 당살초(gymnema) gymnemic acid, 구아-검 분해물 dietary fiber, 녹색 루이보스 aspalathin, 뽕잎 1-deoxynojirimycin, 계피 type A polymer 등 추출물의 효능과 분말의 시장동향을 소개하였다.
○ 체지방 저감·지방연소 촉진 소재 동향으로는 명일엽과 정향 polyphenol, 아로니아 anthocyanin, 온주밀감 β-cryptoxanthin, 홍화씨 CLA, 칡꽃 isoflavone, 팔삭귤 auraptene, 감귤과 흑생강 polymethoxy flavonoid, 올리브 잎과 가르시니아 추출물, 식물성 키토산, 중쇄 중성지방유(MCT oil), L-카르니틴, 유산균(EC-12) 등 다양한 소재를 소개하였다.
○ 식욕억제 소재로는 식욕과 지질합성 억제기능을 갖는 효모 유래 펩티드 (DNF-10)가 판매되고 있으며 다이어트 식품으로 호감을 받고 있다. DNF-10의 원료는 빵과 청주 제조용 S. cerevisiae를 효소로 분해하여 얻은 분자량 1만 이하의 저분자 펩티드이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일본의 항대사증후군과 체중조절 다이어트용 소재 동향을 참고하여 이 분야의 기능성 식품제조에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저자
- Editor brea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50(7)
- 잡지명
- 食品と開發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0~38
- 분석자
- 이*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