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에너지 분야를 위한 바이오매스 분해 효소 생산용 고상 발효 개발
- 전문가 제언
-
○ 고상 발효(SSF: solid-state fermentation) 공정은 농산물 잔사를 바이오연료나 기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바이오전환 시키는 새로운 응용에서 거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농업부문, 특히 에너지 생산용 곡물이 석유의존도 경감과 기후변화 완화 정책에 따라 현재 세계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업 및 임산물 잔사의 이용도 동일하게 증대되고 있다.
○ 효소를 이용한 리그노셀룰로오스 바이오매스의 전환이 미래의 바이오 정제에 주요 기술과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의 효소 전환을 상업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헤미셀룰로오스 효소 생산 효율을 개선하고 효소 가격을 낮출 필요가 있다.
○ 이 보고서의 초점은 효소 생산과 이 기술을 바이오에너지 부문에 적용하기 위한 SSF의 최근 개발에 맞추었다. SSF 공정 변수는 헤미셀룰로오스 효소 생산, SSF 바이오반응로를 통한 헤미셀룰로오스 효소의 바이오 공정 엔지니어링의 개발과 이를 대규모화하기에 적합한 기기, 센서 및 새로운 공정 배열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2008~2013년 기간에 ㈜젠닥스가 억새에서 바이오에너지를 얻는 “당화가 용이한 형질전환 바이오 에너지 작물 및 재조합 셀룰라아제 저가 생산 기술개발”을 연구한 바 있다. 개발 내용은 1) 셀룰로오스 분해능이 도입된 바이오에너지 모델작물 개발, 2) 바이오매스 당화효소 저가 생산기술 개발, 3) 바이오에너지용 비식용 및 비사료 작물 형질전환 시스템 개발 등이다.
○ 그 밖에 대학 및 국책 연구소에서 목질바이오매스의 효소 당화 기술에 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머지않은 장래에 목질바이오매스로부터의 에탄올 생산이 산업적으로 이루어지기 기대한다.
- 저자
- Cristiane S. Farina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52()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79~188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