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신종 호흡기바이러스, 사람 보카바이러스(bocavirus)의 역할

전문가 제언

사람 보카바이러스(Human BocaVirus, HBoV)2005년에 처음으로 사람 질병과 관련성이 제기된 파보바이러스(parvovirus)의 일종이다. 근래 연구에 의하면 이 바이러스는 호흡기 시료에 있는 바이러스 중에서 넷째로 많은 바이러스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호흡기- 및 장-관련 질병과의 관련성이 알려짐에 따라서 진단제 시장에서 HBoV 진단기술의 사용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바이러스가 소아를 중심으로 한 질환과의 관련성이 대두됨에 따라서 호주, 미국 및 태국 등 다수 국가에서 호흡기 질환과 관련한 역학 연구가 수행되고 있어 그 실태가 알려지고 있다. 현재까지는 주로 비염 등 상기도 감염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증거들에 의하면 HBoV는 하기도 감염의 주요 질환임을 보여주는 많은 증거들이 축적되고 있다.

 

보카바이러스의 질병 관련성에 대한 증거들이 축적됨에 따라서 많은 진단 개발 회사들과 연구인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제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현재로는 PCR과 혈청 시험 관련 시약들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PCR 방법을 사용한 임상 시험들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관계 당국에서도 HBoV를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등과 함께 급성호흡기 감염증 정기적 감시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카바이러스가 호흡기 질병에 관련성이 점증됨에 따라서 관련 진단제의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로는 진단 감도에서는 PCR 방법이 높으나 특이성에서는 혈청학적 방법이 높다. 따라서 보카바이러스 진단제도 핵산 방법과 단백질 사용 방법 등 여러 종류의 진단제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호흡기 감염증 진단제는 검사 대상 건수가 많은 특징을 갖고 있다. HBoV와 같은 신종 병원체에 대한 진단기술의 개발은 이미 많은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 분야와는 달리, 다른 선진국 기업과 동일 선상에서 기술개발 경쟁을 시작할 수 있는 유리한 면이 있다.

저자
Francesco Broccolo, Valeria Faleria Falcone, Susanna Esposito, Antonio Toniol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72()
잡지명
Journal of Clinical Vir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75~81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