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가금류 식품 생산시설에서 리스테리아균에 대한 식품 안전성 관리

전문가 제언

식품 생산시설에서 Listeria monocytogenes 균과 같은 식품 매개 인체 병원체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것은 현대적인 식품 안전성 프로그램의 중요한 측면이 있다. 이 연구는 가금류 식품 생산시설에서 리스테리아균의 오염 패턴을 평가하고 공장 전체에 세균의 오염이나 전파를 제어하기 위한 절차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Listeria monocytogenes은 무과립 백혈구의 단핵구(monocyte) 증가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동물이나 조류에 널리 병원성이 있으며 사람에도 감염되는 인수 공통 전염병균이다. 사람에게 패혈증, 뇌척수막염을 일으키는 식품 매개 병원균이다. 최적 발육온도는 2037로 광범위하여 45의 저온에서도 증식이 가능한 특징이 있고, 특히 내염성이 있어 식품산업에서 언제나 감시의 대상이다.

 

한국소비자원은 대형 할인점 및 인터넷 홈쇼핑 등에서 판매 중인 훈제식품 총 36종에 대해 병원성 세균 및 방사능 물질시험과 제품의 표시실태를 조사한 바 있다. 훈제연어와 훈제 닭 각 1, 훈제오리 4개 등 총 6개 제품에서 Listeria monocytogenes가 검출되어 제조 시에 위생관리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와 관련이 있는 국내연구로는 2015년 이 등은 “Growth Modell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Korean Pork Bulgogi Stored at Isothermal Conditions”에서 여러 온도에서 저장할 때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 예측모델을 개발한 바 있다. 2014년에 정 등은 식품에서 분리된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젠스의 분포 및 항생제 내성을 발표하는 등 최근에 연구가 활발하다.

 

최근 건강증진과 체중조절을 위해 가금류의 섭취가 증가하고 있다. 가금류가 유익한 단백질원으로 선호되고 있지만, 그 생산되는 단계에서부터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리 특성상 발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의 제어전략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생산자와 식품위생 관련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가 되는 제도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본다.

 

저자
Edward M. Fox,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1()
잡지명
Food Microbi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1~86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