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반적인 중국 섬유산업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과 영향 요인분석

전문가 제언

에너지효율은 소비된 에너지에 비해 실질적인 유효에너지가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최근 에너지와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섬유, 철강, 화학 등 에너지다소비산업의 에너지효율향상문제가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전반적인 중국섬유산업에 있어서 에너지효율과 영향요인분석”을 주제로 하는 본 연구는 다원적 비교와 분석을 통해 중국의 전반적 섬유산업에 있어서 에너지이용과 에너지효율을 고찰하고, 에너지효율의 영향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푸젠성을 중심으로 중국화학섬유산업의 에너지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는 경제구조, 에너지구조, 산업규모와 기술이 포함되나 산업집중도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 제시되고, 중국의 전반적 섬유산업, 특히 화학섬유산업에서 에너지효율의 지속적인 발전을 실현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에너지정책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에서 최우선순위가 됨은 물론 경제구조개혁과 에너지절감기술이 실현되어야 함이 강조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최근에너지전망보고서는 에너지효율이 에너지안보와 경제성장 뿐만 아니라 환경보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자원고갈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녹생성장이 국가성장의 아젠다로 부상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효율향상정책방안이 추진되고 있으며, 주요국들의 에너지정책목표들에서 에너지효율향상목표가 주된 에너지정책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에너지소비향이 세계 8위이고 에너지수입의존도가 96.4%인 우리나라의 섬유산업은 대표적인 에너지다소비산업으로서, 에너지효율성문제가 현안이 되고 있으며 ‘공급’에서 ‘수요관리’ 중심의 에너지정책이 추진되어 왔으나, 에너지효율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일본의 1/3 수준). 따라서 섬유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에너지절감과 에너지효율향상이 절실하며, 이에 대한 정책지원, 특히 에너지저감 및 효율증대기술개발에 대한 세제와 금융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Lihong Pe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5
권(호)
93()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1222~1229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