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 나노 임프린트에 의한 동 패턴의 형성

전문가 제언

나노 임프린트 기술은 광도파로나 도광판 등의 광소자, 자기기록소자에 주로 사용된다. 열 나노 임프린트법은 전자 재료인 열가소성 물질을 유리전이온도 이상으로 승온하여 압형하고 냉각하는 기술로서 열에 의한 패턴의 위치나 선폭의 정밀도 확보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광 나노 임프린트법은 자외선 경화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신속히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전사재료가 수축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14년 일본의 Shinji Matsui는 나노 임프린트법에 관한 연구결과를 전자정보통신학회에 발표하였다. 2013년 일본 전자정보기술 산업협회에서도 인쇄 배선판의 실장기술 Road Map을 출판하였고 2014년 K. Miyama도 수㎛ 수준의 리소그래피에 의한 미세한 인쇄배선 형성기법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최근 고주파 정보단말기에 빅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2006년 Hitachi사는 나노미터 수준의 탄소미립자를 혼합한 전도성 유기재료를 사용하여 임프린트법에 의해 액츄에이터를 시험 제조하였다. 임프린트은 저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대기분위기의 저전압에서 작동이 가능하고, 생체친화성이 좋기 때문에 인공근육 등 수면연장을 위한 의료용으로 기대된다. 직경 40nm의 카본블랙(Carbon black)계 미립자를 불소계 고분자에 혼합한 것이다. 불소계를 선택한 것은 열팽창계수가 높기 때문이고, 그 외 에폭시계도 검토되고 있다. 재료를 용매에서 녹여서 잉크화하고,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 기판 상에 스크린 인쇄한다.

 

1995년 반월공단의 진세정밀 사는 카본블랙 인쇄법으로 전도성 패턴을 인쇄기판에 형성하여 대량생산에는 성공하였지만 동의 물성과 비교해 볼 때 탄소는 연신율이 낮아 열충격에 균열이 가는 품질불량을 초래했다. 이 결과 다시 습식에 의한 다이렉트 동도금으로 전환하기도 했었다. 2000년 인천의 ㈜하이텍 사는 이러한 연신율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다이렉트 동도금을 개발하여 인쇄회로기판의 도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저자
Takayuki SAITOU,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66(9)
잡지명
表面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425~430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