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토슈크로스(lactosucrose)의 생물공학적 생산과 활용 전망
- 전문가 제언
-
○ lactosucrose는 기능성 물질로 prebiotics의 범주에 들어가는데, prebiotics란 대장 내의 유용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생육이나 활성을 촉진함으로 인체건강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난소화성 성분으로, 위장관의 상부에서 소화 또는 흡수되지 않아야 하고, 대장 내 유용 세균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유해세균은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 lactosucrose를 합성하는 효소의 생산은, levansucrase 또는 β-fructofuranosidase이 sucrose의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능력과 fructosyl이 acceptor인 lactose로 전이하는 능력에 있으며, β-galactosidase가 lactosucrose의 생산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 lactosucrose의 유용성은 장내 유익균의 활성을 높여주고, 병원세균의 활동을 저해하며, 배설물의 pH는 낮춰주고, butylic acid나 linoleic acid와 같은 유용한 단쇄지방산(SCFA)를 생산하고, 부패 산물을 감소시켜주며, 미네랄의 흡수를 높여준다.
○ lactosucrose은 비만을 방지하여 주고, 면역력을 증진시켜주며,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여 주고, 배설물의 냄새를 줄여준다. 또한 만성 염증과 장내 질환을 치유하여 주며, 뼈에 칼슘의 축적을 도와주고, 장내 미생물상을 정상화시켜주며, 유당 과민성 증상을 방지하여 준다.
○ lactosucrose의 감미도는 설탕과 비슷하며 난소화성 저칼로리 감미료로 빵,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유아식, 스낵, 쿠키, 캔디, 디저트 등 다양한 식품의 제조에 활용되며, 초콜릿, 추잉검, 주스, 인스턴트 수프, 청량음료에 설탕 대용품으로 사용된다. 일본에서는 유과올리고당, 우유올리고당으로 불리며 2005년부터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 지정되어 있다.
○ 앞으로의 과제는 lactosucrose가 prebiotics에 포함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표시될 수 있어야 하며, 적은 양의 섭취로도 지속적이면서 높은 효과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국내에서도 십년 전부터 lactosucrose 생산에 관련된 효소 선발과 분리 및 정제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서 이 분야에 좋은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
- 저자
- Sara C. Silverio , Eugenia A. Macedo , Jose A. Teixeira ,Ligia R. Rodrigue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19()
- 잡지명
- Journal of Functional Fo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74~90
- 분석자
- 장*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