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대사산물이 대사흐름을 어떻게 조절하나?

전문가 제언

대사 필요와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은 모든 생명체의 기본적인 요구이다. 이들 적응은 매우 빠르고 순하거나 느리지만 훨씬 격렬하다. 어떤 경우에서, 세포는 대사의 상태와 필요를 끊임없이 점검해야 한다.

 

본 리뷰에서는 대사산물이 어떻게 대사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일반개념과 최근진보가 검토된다. 세포가 어떻게 대사산물 수준을 감지하고, 변화하는 대사산물 수준이 다양한 수준(특수 알로스테릭한 조절부터 세계적 전사조절까지)의 대사효소를 어떻게 조절하는지가 검토된다. 본 리뷰는 포유류 세포에서의 국부적 대사감지에 집중하였다.

 

본 리뷰와 관련된 국내 연구자의 최근 논문은, “진세노사이드 대사산물이 GABAA 수용체-매개 이온전류에 미치는 효과(2012)”, “에탄올생산 대사네트워크의 동역학모델 구축과 파라미터 추정 및 민감도 분석(2008)”, “대사흐름분석을 이용한 대사산물 생산증대를 위한 시스템 방법론의 개량 및 개발(2007)”, “대사조절분석 기법을 이용한 L-threonine 생산 재조합대장균 개발(2007)”, “Lactococcus lactis 대사네트워크 모델링 및 대사흐름 분석법을 이용한 lactate 대사분석(2005)” 외에도 많다.

 

동향분석에는, 대사산물의 스크린 방법, 대사산물의 인-실리코 개량방법, 대사산물의 바이오센서 개발, 대사흐름분석 패키지개발 등이 있다. 또한 등록된 특허실용은, “대사산물들의 플럭스 섬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생물 개량방법”, “미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대사산물의 스크리닝 방법”, “CRD 및 SRD를 이용한 대사흐름 분석법” 외에도 다수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연구가 활발하여 많은 성과가 도출되었지만 현재는 과거에 비해 다소 부진한 경향이다. 또한 대사산물과 대사흐름을 연관 지은 연구는 드물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구획-특수 대사산물농도 측정과 컴퓨터모델링을, 추정적 결합포켓 탐지에 활용하면, 대사산물의 세포대사조절에 대한 이해가 촉진될 것이다.

저자
Andre Wegner, Johannes Meiser, Daniel Weindl and Karsten Hill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6~22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