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벼에서 새로운 타감 작용물질 스크리닝 방법

전문가 제언

식물추출물의 생물검정은 타감 작용 잠재성을 평가하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빠르고 저렴하며 공간이 절약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자연조건에서 식물추출물이 침출되지 않거나 식물로부터 배출되지 않는 일부 화학물질이 포함되기 때문에 신뢰가 적을 가능성이 있다.

 

원형 거리배치-저해 검정방법에 의하여 확인된 강한 타감 작용 품종인 PI31277, Taichung Native 1과 타감 작용이 없는 Lemont 품종은 포장에서 직접 스크리닝한 결과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므로 원형 거리배치-저해 검정방법의 신뢰성이 입증되었다.

 

벼에서 타감 작용 화학물질의 평가는 성숙기보다 유묘기에 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본 실험에서 PI31277품종은 피로부터 원형으로 6cm12cm 거리와 벼 5, 6엽기에서 피 생장억제가 가장 높았다. 원형 거리배치-저해 검정방법은 실험실에서 스크리닝하는 방법보다 포장조건에 더 가깝게 모의실험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뢰성이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원형 거리배치-저해 검정방법은 3035(종자부터 벼 유묘기까지)에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소요시간을 현저하게 단축할 수 있어 노동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북대 김길웅, 신동현 팀이 타감 작용물질을 보이는 품종을 선발하고 타감 작용 품종개발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타감 작용 작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앞으로 벼에서 타감 작용 화학물질의 동정 및 타감 작용 관련 유전자에 관한 연구 결과가 더 많이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J. Y. L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5()
잡지명
Weed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41~448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