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V경화 (메트)아크릴레이트 감압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본 특허의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UV 경화용 (멭) 아크릴레이트를 조성으로 한 것들이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 서 그 성분을 개량하든가 또는 개선해서 특허권 범위를 벗어나든지 아 니면 전혀 다른 계열 물질로 대체하여야 될 것으로 예상한다.
○ 환경 안전을 위해서 접착제의 경우도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접착제나 수용성 접착제로 바뀌어 가고 있으나 아직도 유기용매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러나 점차 공해나 안전 문제들을 고려해서 인체에 유해한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만은 개선해 가야한다. 일반적 으로 무공해 접착제란 무용제 접착과 같은 의미를 갖고 있다. 유기용 매를 사용하지 않는 수성접착제나 핫멜트(Hot melt) 접착제, 반응성 접 착제 등을 무공해 접착제라고 할 수 있다.
○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UV 경화용 올리고머, 광-개 시제, 반응성 희석제, 촉매나 착색제 및 첨가제 등을 추가하여 사용할 경우엔 접착된 후에 공해성 물질이 나오는지를 확실하게 검증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접착제에 추가해서 들어가는 물질들이 전부 화학물질 이기 때문이다. 접착된 후에 그 물질로부터 유독한 물질들이 나오거나 혐기성 기체가 새나오면 바로 공해문제로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자외선 경화성 감압접착제는 액상의 접착성분으로 된 반응성 혼합물에 UV를 조사하여 혼합물 내에 들어있는 광-개시제가 반응을 개시하여 빠른 시간 안에 고형으로 접착되기 때문에 단순하고 처리가 용이한 장 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액 형의 무용제 타입으로 몇 초 안에 자외 선에 의해서 경화되기 때문에 작업 환경에 공해를 유발하지 않는다.
○ 접착제는 일반적으로 제조과정이나 작업환경에서 공해를 유발하지 않 아야 한다. 현장엔 무공해 기능성 접착제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국내에 범용성 접착제를 주로 사용하여 왔으나 앞으로는 선진국들이 주도하고 있는 것처럼 기능성을 갖는 무공해 반응성 경화용 감압접착제들이 국 내 산업계에서도 개발하게 될 것이 기대된다.
- 저자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43649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5
- 분석자
- 성*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