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전 캔틸레버를 이용한 탄성 측정을 위한 손가락 형태의 촉각센서
- 전문가 제언
-
○ 인공지능 자동화기기와 로봇 등 산업용에 주로 적용되던 초기의 촉각센서 기술은 이제 인공피부와 의수, 의족 등 의료용으로까지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특히 최근 IT기술의 화두인 웨어러블기기를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촉각센서에 대한 연구개발을 자극하고 있다.
○ 기존 촉각센서는 대개 손과 관절을 움직여 물체의 위치와 형태 등을 감지하는 기초기능에 머물러있다. 이 동작은 물리적 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든 촉각센서는 기본적으로 힘 측정과 피드백기능을 갖고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촉각센서에 대한 연구는 이 같은 기본적인 촉각센서를 더욱 발전시켜 온습도와 탄성 등 표면질감을 감지할 수 있는 생체모방형 촉각센서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경우 촉각센서의 잠재성을 인지한 일부 과학자들에 의해서 비교적 일찍부터 연구 노력이 시작되었으며 현재의 수준은 선진국들과 큰 차이가 없다고 평가된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김종호박사는 이 분야의 전문가로서 곡면형 촉각센서 개발에 오랜 동안 업적을 쌓아왔으며 최근 촉각센서를 이용한 보행교정용 스마트신발 개발을 발표하였다. ETRI는 웨어러블기기 등 전자기기 적용을 주요 목표로 하여 생체모방형 촉각센서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 국내 대학연구의 한 예로 한양대학교 나노전자소자 연구실은 생체모방형 촉각센서 개발 연구를 오랜 동안 수행하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생체 모방소자 및 인터페이스 연구실도 주목받는 연구팀 중의 하나이다. 인공지능 로봇이 점차 현실화하면서 다양한 생체모방센서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고 그 중에서도 촉각센서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이 있다. 이 추세를 주목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Ji Fu, Faxin L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5
- 권(호)
- 234()
- 잡지명
- Sensors and Actuators, A: Physic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351~358
- 분석자
- 은*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