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와 사회기반시설의 종합 디자인
- 전문가 제언
-
○ 100여 년의 자동차 역사상 발생한 모든 변화보다 훨씬 더 근본적인 방식의 변화가 자동차 사회에 발생하고 있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자동차 디자인에서 에너지, 환경, 그리고 교통체증이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요소로 지목되고 있으며, 미래에는 더욱 더 가볍고, 친환경적이며, 도시의 인적, 기술적 네트워크와 통합 운영되는 자동차를 향한 혁신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이 시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동차의 기능성보다는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은 더 이상 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최우선 가치로 두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미래를 위한 자동차 디자인은 연결(connection), 소통(interaction) 그리고 창조(creation)의 분야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자동차를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와 연결하고, 도시의 다른 네트워크와 소통하며, 미래의 신기술에 의한 창조가 새로운 자동차 제작 기술 개발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 전기자동차 업체인 미국의 Tesla는 혁신적인 디자인 보다는 우아하고 안정적인 디자인을 선택하고 있으며, 전통적인 디자인 요소는 단지 차체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무소음의 전기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가 갖는 야성의 기계음에 매혹된 사용자에게는 아무런 매력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디지털과 아날로그 사이에서 미래의 자동차 문화를 바꿔 갈 전기자동차의 계속적인 혁신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현대자동차가 추진하고 있는 My Baby 프로젝트는 디자인 센터의 국내외 디자이너들의 창의력을 높이고 글로벌 디자인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인류와 환경, 미래의 운송기기를 주제로 새로운 기술을 상상하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제안해 전시까지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미래 자동차에 대한 디자이너들의 도전 정신과 열정을 키워주는 것이 목적으로 그 결과가 자동차 문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앞으로 혁신적인 미래의 자동차는 도시의 인적, 기술적인 네트워크와 통합되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차량 성능과 디자인을 모두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
- Masayuki Moriguch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69(6)
- 잡지명
- 自動車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6~31
- 분석자
- 진*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