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태양광발전 산업의 전환점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세계 태양광발전(PV) 시장과 중국의 PV 시장을 분석하고 있다. 2008년 이후의 세계 금융위기로 인해 세계 PV 시장이 크게 침체되면서 해외시장에 의존하고 있던 중국의 PV 산업도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특히 미국과 유럽 등이 중국의 PV 보조금 지급을 반대하고 있고 또한 중국이 실리콘을 원가 이하로 수출하고 있다는 의혹을 조사받으면서 PV 산업이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강력한 PV 장려정책을 실시함에 따라 중국의 PV 산업은 성장세를 지속하여 2020년 이전에 커다란 전환점이 도래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또한 2020년 이전에 중국의 PV 발전비용은 전력망 전력가격과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낮아지고 PV 산업 전반이 이익을 창출할 것이며 PV 시장 수요가 괄목할 만한 증가를 보일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중국 정부가 장기적인 PV 개발목표를 더욱 높여야 하며 정부와 관련 기관 사이의 협력체계를 강화해야 하고 또한 녹색인증제도를 통하여 PV 전력의 거래를 활성화할 것을 건의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반도체 분야의 세계적 선진국에 올라 있고 PV 분야에서도 기술적인 측면에서 선진국 수준에 올라 있지만 PV 제품들의 생산단가가 중국보다 높기 때문에 비교경쟁력이 낮게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중국과 같이 태양에너지전력에 대한 대폭적인 보조금 제도를 도입하고 수출 및 국내 수요를 더욱 확대하여 대량생산에 따른 경제성 제고를 추구하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그러나 현재의 세계 PV 시장은 중국의 저가 PV 모듈 생산에 큰 영향을 받고 있어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적으로 보다 우수한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도록 보조금 제도를 도입하며, 조명용이나 군사 목적의 특수용 등 다양한 용도의 제품 개발을 강화하여 세계 PV 시장의 틈새시장을 개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저자
- Xin-gang Zhao, GuanWan,YahuiYang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78~188
- 분석자
- 신*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