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질소함량을 저감시킨 양계퇴비의 혐기성 소화성능 및 바이오가스 생성 개선

전문가 제언

폐기물을 이용한 혐기성 소화가 성공적으로 운전될 경우에는, 그 생성물인 바이오가스를 이용해서 난방 및 각종 발전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과정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보고서의 목적은 양계퇴비의 전 처리를 통해 질소함량을 낮추어서 양계퇴비의 혐기성 소화성능을 개선해서 바이오가스를 생성, 향상시키는 것이다.

 

가축분뇨의 혐기성 소화 시에는 바이오가스 생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암모니아성 질소가 중요한 요소이다.

 

혐기성 미생물반응은 C/N비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 가장 활발하게 혐기성 반응이 일어나는 범위는 1216이다. C/N비가 적은 유기물은 질소가 충분히 이용될 수 없기 때문에 과잉의 질소가 암모니아로 변하고 메탄발효 반응을 저해하게 한다.

 

C/N비가 너무 높으면 유기산 생성으로 PH가 저하되어 퇴비화가 느리며, C/N비가 너무 낮으면 질소가 암모니아로 변하여 축적하는 경향으로 인해 PH가 상승하고 혐기성 세균에 독성을 나타낸다. 축적된 자유 암모니아는 가열/ 통기에 의해 용이하게 탈기된다.

 

우리나라의 바이오가스 에너지화와 관련된 기술수준은 최고 기술보유국에 비해 6672% 수준으로, 최고 기술보유국과의 기술격차는 67년 정도라는 견해가 있다.

 

특히 유기성 폐기물 성상에 대한 자료구축이 미비하고,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의 안정화 및 운전기술의 효율성이 부족하며, 실증기술의 상용화 경험도 부족하고, 바이오가스 정제기술 수준이 낮다는 점이 주요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저자
Giorgos Marko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96()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726~730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