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하향류 미호기성고정막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모의 섬유폐수 내 반응성 아조(Azo)염료의 무기화

전문가 제언

섬유산업은 염료, 화학물질 등의 난분해성유해물질과 오염물질이 함유된 다량의 폐수를 환경 중에 배출하고 있어 주요 오염원의 하나가 되고 있다. “하향류 미호기성 고정막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모의 섬유폐수내 반응성아조(Azo)염료의 무기화”를 주제로 하는 본 연구는 구조적으로 상이한 반응성염료를 함유하는 모의 섬유폐수를 분해함을 목적으로 하고 모의 섬유폐수내 아조염료의 제거처리를 강조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의 섬유폐수의 처리에서 반응기 내 투여박테리아컨소시엄의 강력한 대사활성(Metabolic activity)으로 인해 화학적 산소요구량(COD)감소효율이 97.5%, 반응기의 탈색효율이 99.5%이었음을 강조하고 있으며,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리학적 체류시간의 24h하에서 저 분자량 지방성화합물이 형성되어 모의 섬유폐수의 완전한 무기화가 이루어졌고 미생물처리가 모의 섬유폐수의 독성제거를 도왔다는 것이 제시되고 있다.

 

오늘날 유독성화학물질인 반응성 아조염료가 섬유염색에서 널리 이용됨에 따라 섬유폐수공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염료가 환경에 영향을 미치기 전에 폐수처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섬유폐수에 함유되어 배출되는 유기성 아조염료가 생물학적 분해에 의해 무해유기물로 처리되는 무기화(mineralization), 즉 생물적 환경정화(Bioremediation)가 섬유염색폐수의 처리 및 재이용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섬유염색폐수의 처리에서 기존의 물리화학적처리가 생물적 환경정화공정에 의해 보완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섬유염색폐수에 대해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가 병행실시되고 있으나 그 처리가 쉽지 않고 처리효과와 적용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향후 최선의 방법으로서 항산화공정과 생물학적 방법을 병행하는 고도처리기술이 절실하며 이를 촉진하는 정부의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아울러, 위험성이 없는 반응성 아조염료에 대한 국내연구가 지속되고 발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저자
Kshama Balapur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175()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7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