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열 발전을 위한 열에너지 저장

전문가 제언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중요성은 재생에너지(RE: Renewable Energy)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수록 늘어나게 된다. 풍력과 태양과 같은 재생에너지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이 없으면 지속성이 없는데,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수요가 낮을 때 저장하고 수요가 높아질 때 방출하는 전기에너지 저장시스템(EESS)이 필요하다.

 

재생에너지 자원은 고갈되지 않으나, 풍력이나 태양 및 조력에서 오는 출력은 기복이 심하여 최근에는 재생에너지의 연속성을 증가하기 위한 ESS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기존의 전기산업도 또한 ESS에 관심이 많은데 전압변화와 같은 전기의 질 문제가 대두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해결방법의 하나가 ESS를 도입하여 신뢰성과 성능을 높이는 것이다. 이에 대한 많은 연구는 주로 오프그리드(off-grid)에 치중되었지만, 고가 그리드의 확장이 파급하면서 에너지 전환과 저장기술의 진전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 글은 재생에너지로부터 나오는 열에너지를 오프피크에 저장했다가 부하 용량이 부족할 때 열에너지를 방출한다. 이때 동원되는 물질이 상변화물질(PCM)로 열전도도와 융점 등이 적절해야 되나, 결국은 운동에너지, 화학 및 경제성에 따르게 된다고 기술한다. 복합 PCM이 유망하나 앞으로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국내의 배터리 연구는 국제시장에서 90년대까지 일본에 밀렸으나, 지금은 LG와 삼성SDI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시장을 선점한다. 그동안 정부는 ESS가 전력시장에서 적극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발전소 역할을 부여하는 한편, 기존 발전소가 담당해 온 주파수 조정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추진해 왔다. 업체는 효성, 포스코ICT, 현대중공업, 우진산전, EN테크, 그리고 에너지관리시스템에는 LS산전, AT solution 등이 있다. 중소기업으로는 코캄, 우진산전, 에코파워, 인텍, EN테크, 세방전기, 동이에코스 등이 있다.

저자
Arun Kumar, S.K.Shukl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74()
잡지명
Energy Procedi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62~469
분석자
손*목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