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ABL과 BAM 방법을 이용한 사제화약의 마찰감도 비교 분석

전문가 제언

미국 해군연구소(Naval Surface Warfare Center: NSWC)소속의 Indian Heat Explosive Ordnance Disposal Technology Division(IHEODTD) 외 화약 개발 전문 연구소 6개 기관의 K.F. Warner 9명 연구원은 ABLBAM 마찰감도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ABLBAM 마찰감도 결과를 직접 비교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BAMABL 마찰감도시험 장비의 구조적 형성 원리가 다르고, 시료에 가하는 마찰 에너지의 차이가 있다. ABL 마찰감도시험 장비는 혼합물질과 둔감한 복합화약 등 마찰 감도를 측정에 유리하고, BAM 마찰감도시험 장비는 단일 물질인 분자화약 PETN, RDX. HMX 등에서 마찰감도의 둔감도 예측에 유리하다.

 

국내의 국방과학연구소, 방위산업체에서 BAM 마찰감도시험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 개발한 분자화약, 에너지 함유 결합제 등 마찰감도를 평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BAM 마찰감도 장비로 예민한 분자화약에 대한 마찰감도 평가는 큰 어려움이 없었으나, BAM 장비를 이용해서 둔감화약의 경우 측정 에너지 범위를 벗어나는 감도에서는 평가가 어렵다.

 

앞으로 둔감한 분자화약과 둔감한 복합화약(PBX) 등 마찰감도 평가를 위해서는 ABL 마찰감도 장비가 필요하다. 국내의 둔감탄두/탄약에 적용할 복합화약, 로켓추진제 등 평가에서는 ABL시험 장비로 평가가 더 유리할 것이다.

 

특히 국내의 국방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하고 있는 둔감한 복합화약에 대한 정확한 마찰 감도 측정이 필요하다. 또한 마찰감도에 취약한 AP(Ammonium Perchloride)를 함유하는 수중용 복합화약, 로켓 추진제에서도 ABL 마찰감도시험 장비를 이용한 마찰감도 평가가 필요하다.

 

저자
Kirstin F. Warner, Mary M. Sandstrom, Geoffrey W. Brown, Daniel L. Remmers, Jason J. Phillip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40()
잡지명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583~589
분석자
전*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