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청정에너지 기반투자에서 감지되는 장애와 정책해법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국제 정치적 협상과 국가정책은 청정에너지 기반에 투자규모 확대와 투자 동원에 점점 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민부문에서 어떻게 기관투자가들이 장애요인을 감지하고 청정에너지 기반에 투자 규모를 확대하며, 이들 장애에 대해 무슨 해결책이 그들의 호응을 받는가에 주안을 두고 있다.

 

투자공급망은 청정에너지 기반을 재정지원하고 개발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직체를 일컬으며 자본 제공자, 자본 조력자 그리고 프로젝트 개발자를 포함한다. 청정에너지 투자는 투자 우선순위 및 정책개발을 관리하는데 다른 접근방법을 요하는 기회와 위험 모두를 동반하고 있다. 다수의 정책과 정부개입은 투자의 장애를 감소시키거나 장애를 관리하는데 주안을 두고 시행하고 있다.

 

재정 분야에서 조직과 연합체로부터 이전 공공 발표문을 분석하여 투자에 장애를 먼저 식별했다. 최초 식별된 장애는 델파이기법에 반영하고, 델파이처리에서 나온 결과는 장애의 다섯 가지 부류로 분류했다. 본 연구 분석에서 결심을 이끄는 힘은 이들 장애 존재 여부에 상관없이 투자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분야에서 문민분야와 공공분야 간에 더 좋은 소통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정기적이고 안정된 공공정책은 청정에너지 영역에서 근본적으로 필요하다. 그것은 투자에 매력을 느끼게 하는 방안 중에 하나이다. 그래서 정책개발은 지속적인 프레임워크 내에서 명백하고 장기적이며 안정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촉진에 주안을 둔 보조금제도는 유럽의 FiT에서 과거 변경과 정부재정 제약에 기인하여 높은 위험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투자 위험은 명백한 사실이다.

 

한국의 청정에너지 기반에 대한 투자는 정부가 바뀌면서 현재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따라서 청정에너지 기반 정책은 생명주기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저자
Aled W. Jone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04()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7~304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