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 디바이스의 운영제어를 위한 HTML 디바이스 태그
- 전문가 제언
-
○ HTML의 플러그인이나 액티브엑스와 보안등의 기능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웹브라우저 기반의 웹 OS 기반 플랫폼 구성과 서비스프로그램 제작에서 HTML5로의 전환이 증가되어 왔다. IoT 서비스 구축을 위한 웹 환경은 IoT 디바이스가 그자체이든 사물에 내재되든 IoT 대상객체인 디바이스의 플랫폼이 주요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플레이어들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다. HTML5가 기존 언어의 개량 형이며 HTML5의 표준화 노력에도 불구 IoT의 확산 과정에서 여전히 이전 버전의 브라우저간이나 콘텐츠 및 태그의 호환성, 기능 재사용성, 실용성, 상호 운영성, 접근 범용성 등에 아직 과제가 존재하므로 해결을 위한 가속화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 최근 크롬, 익스플로러, 파이어폭스, 사파리, 오퍼러 등의 웹 브라우저의 중점이 WWW의 정보자원의 검색, 표현, 검토를 위한 소프트웨어 기능으로부터, 1)IoT를 위한 HTML 프로그래밍 구성요소 분석 목적의 에이전트, 2)IoT 디바이스의 식별, 발견, 설정, 연결 관리 중점, 3)IoT 디바이스 제어 및 애플리케이션 준비를 위한 API 집합 등으로 옮겨지고 있음은 주목할 만한 점이다.
○ HTML5는 DOM 계층구조에 의하 콘텐츠 접근이 아닌 콘텐츠 구성에 따른 시맨틱 요소 추가와 연결구성의 효율성이 특징이므로 IoT 확산에 기여가 예상된다. HTML5 디바이스 태그는 IoT 디바이스의 센서나 액추에이터 등 운영기능을 식별, 설정, 정보수집,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여 콘텐츠에의 접근성과 이식성, 상호 운영성능 향상의 장점이 있고 확장성에 의해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부하를 경감시켜 앱과 웹 활용도 향상이 가능하다. 딘 보안과제의 해결방향성은 여전히 숙제이다.
○ W3C에서의 WoT(IoT) 관련 HTML5의 발전적 논의와 HTML5 API 표준 개발이 진행 중이고 HTML5의 이식성과 URL 연결성은 IoT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필수적 기술이므로 기술적용과 성숙도를 지속적으로 증강시켜 가야 한다. 인터넷 기반 콘텐츠 및 서비스의 글로벌 빅 플레이어들의 HTML5 서비스 환경 변환을 분석하고 반영하여 여 복합적 앱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개발에 대응이 필요하다.
- 저자
- CISCO TECHNOKOGY,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38400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9
- 분석자
- 박*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