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고분자 전해질과 페로브스카이트 사용의 득실

전문가 제언

염료감응 태양전지(DSSC)는 고순도가 필요 없도록 기능을 분리시킨 덕에 저렴한 재료 사용이 가능한 3세대 태양전지 기술인데 최근 13%대의 변환효율(PCE)을 달성하였다. 약점은 액체 전해질인데 본문은 이의 해결책으로 고상 고분자 전해질과 페로브스카이트 사용의 득실을 논하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은 점도가 높아 다공성 TiO2 내 침투가 어려운 것이 문제였다. 액체 모노머 사용에 의해 쉽게 침투 후, min 내 제자리 광중합으로 내구성과 이온전도도를 높인 것이 유망 최신기술이다.

 

DSSC Ru계 염료는 흡광도가 낮아 2012년 이보다 흡광도가 10배 높은 이온 결정성 유기금속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재료의 성공적 채택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PSC)가 나타나 현재 PCE20.1%이다. PSC20092011년 초기 안정성 부족 해결과 현 PCE까지 성균관대 박남규 교수 팀과 한국화학연구원(KRICT) 석상일 팀의 공헌에 절대적으로 힘입었음이 세계적으로 알려진 사실이지만, Si 태양전지와 동등한 성능에 근접하자 납 독성, 비용, 안전성의 세 약점이 크게 거론되고 있다.

 

본문에서 저자는 DSSC에서 고분자 전해질과 염료를 대체한 페로브스카이트의 장단점을 논하고 단점 해결책을 설명하고 있다. 납 독성 관계는 본 분석자가 유럽의 환경 규정상으로 예외에 해당될 수 있음을 소개하였다(변선호,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27권 제12, pp.776791, 2014). 본문은 사용 후 자동차 배터리 납 재처리 방안을 알리고 있다.

 

H3NH3PbI3형 페로브스카이트는 습기에 노출 시 독성 전구체 PbI2(또는 PbCl2)을 만드는데, 2013년 조성에 의한 해결 가능성이 보였다. KRICT의 노준일 등은 캡슐 없이 요오드의 20%Br으로 대체한 실온 내습성 안정성 연구에서 PCE가 초기보다 저하하지 않음을 보고하였다. 상대 습도 35%(1일만 55%) 대기 중 20일 간이었다. 동일 조성 셀은 고성능 HTM 사용으로 PCE 16.2%를 달성했다. 수명 20년 이상 내후성 태양전지에는 고분자 사용보다 글라스 프리트로 밀봉한 글라스 캡슐이 필요하고 독일의 DSSC PSC 실례가 있다(변선호의 상술 동일보고).

저자
Federico Bell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175()
잡지명
Electrochimica Acta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51~161
분석자
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