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청(Whey)단백질의 기능성 식품으로 재평가

전문가 제언

유청 단백질은 탈지유를 침전할 때 카세인을 제거한 가용성 단백질을 말하며, 치즈를 만들 때 우유가 응고되면서 분리되어 나온 액체도 유청 단백질이라고 한다. 종류로는 β-lactoglobulin, 알파-락트알부민, 유청 알부민, imunoglobulin 등이 있다.

 

, 당뇨, 비만, 심장 합병증과 같은 대사증후군의 치유를 위해서 고단백질 식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값이 비싼 관계로 단백질 추천 허용량(RDA)에 훨씬 못 미치고 있으며, 불량 단백질은 대사상의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유청 단백질은 생리활성 펩티드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식이요법에 의한 만성질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단백질 농축물은 단백질을 8289%, 분리 유청 단백질은 9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수분해 유청 단백질은 반소화성 단백질로 존재한다.

 

유청 단백질은 대사 불균형으로 야기되는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항산화제, 항암제, 항당뇨, 항비만, 심장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바이틱스 균주인 Lactobacillus rhamnosus CRL 1505를 유청 단백질과 펙틴을 혼합한 제재로 만들어 투여하면 효과적으로 장내 불균형 미생물 균총을 정상적으로 개선시켜 준다.

 

유청 단백질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고질적인 장애요인을 극복해야 하는데, 그것은 이취와 알레르기이다. 본 리뷰가 장애요인과 같은 국면을 해결하기 위한 출발점이 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국내 유청 단백질이 가공식품 기능성 소재로 소개(식품음료신문 2010)되어 영양 좋고 우수한 풍미를 살려 단백질 효율이 높고 칼슘, 비타민 등을 다량 함유한 근육피로해소제, 면역력 강화에 효과가 일부 분유대체되고 있다. 유청 단백질의 기능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데 적극적인 연구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
Seema Pate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19()
잡지명
Journal of Functional Foo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08~319
분석자
장*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