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R 시스템의 전개
- 전문가 제언
-
○ 최근 대규모 집중형 시스템으로서의 미래형 하수처리시설을 그린기술로서 구사한 에너지 생산 및 자원회수 공정으로 적용하려는 세계적인 흐름이 전개되고 있다. 분리막생물반응기(MBR)는 에너지 생산공정에 대한 전처리로서 특화될 수 있으며 현재는 에너지 소비의 저감에 성공한 제2세대의 침지형이 주류이다.
○ 한국정부는 2011년부터 10년간 Global Top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으며 5년간 720억 원이 투입되는 하수/폐수 고도처리 기술개발 사업단은 선도형 수처리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총 450억 원의 정부지원금이 투입되는 에코스마트 상수도 기술사업단은 세계시장 선도형의 정수용 막분리기술 등 3개 분야의 9개 세부과제를 수행한다.
○ 서울시 '물 연구소'는 2015년 9월 글로벌 물 연구 허브도약 목표로 고성능/고집적 MBR기술 개발 등 선제적인 물 순환 연구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한편 29년간 온천오폐수의 식수원 오염문제로 좌절됐던 상주 문장대온천관광휴양지 개발 사업이 최신 하수고도처리시설인 KS-MBR 친환경공법으로 바뀌어 재추진되고 있다.
○ MBR은 막분리법의 물리처리와 활성오니법의 생물처리를 조합한 하이브리드법으로서 그들의 상승효과를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또한 MBR기술이 적용되면 완전 지하화로 하수처리장 건설이 가능하고 처리효율이 우수한 반면 주기적인 필터교체가 필요하다. 2012년도 천안시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천안 하수처리시설에 적용된 분리막의 교체비가 420억 원에 달해 문제가 되었으며 2014년도 인천시에서도 국산대비 최대 4배나 비싼 수입산 분리막 적용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
○ 하수처리시설은 100% 시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기초시설로서 사업에 참여하는 건설회사는 시설운영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방책이 필요하다. 또한 외국산부품에 비해 국산부품의 성능이 뛰어나고 가격면에서도 현저히 낮은데 굳이 외국산부품을 들여와 시민의 혈세를 낭비하는 정책은 시민들의 강한 저항을 받을 수 있다.
- 저자
- Hujii Watar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63(3)
- 잡지명
- JETI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1~35
- 분석자
- 조*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