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투아니아 해체 및 제염 프로젝트 인허가 문서화 및 절차

전문가 제언

현재 전 세계 폐로 현황은 2014년 말 현재 149기로 알려져 있으며 01026, 112030, 213048, 314029, 40년 이상이 16기이다. 폐로의 기준은 정책 및 경제적 측면이 있으며 우리나라 고리 1호기는 정책적 결정이다. 1980년대 미국의 시핑포트 원전이 방사선 문제 때문에 폐로되었는데 이는 정비 시에 피폭되는 방사선량이 과다하여 정비비용이 많이 요구되어 폐로가 경제적이라는 판단에서였다.

 

인허가 프로세스에서의 주요한 문서는 해체 및 제염(D&D, dismantling & decontamination) 안전성 평가보고서(SAR, Safety Assessment Report)로서,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위해의 구분, 중량물 낙하사고, 운전원 실수, 기기 고장 등을 포함하여 제기되는 모든 문제의 상세한 후속조치까지 안전 분석에서 체계적 접근을 적용하는 대단히 중요한 보고서이다.

 

리투아니아 경험은, 당국의 문서화를 위한 가능한 제안이나 언급을 적게 하고 더욱 검토 프로세스에 속도를 허용하며, 지식전달 세션 및 여러 공식비공식 논의를 이용하면서, 문서개발 프로세스에서 당국 및 검토 전문가의 조기 참여를 보여주고 있다.

 

안전 평가는 제안된 D&D 활동이 안전한 방법으로 실행되고 제정된 안전기준에 위반되지 않도록 정당성이 입증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고려했을 때에 SAR이 해체 및 제염 활동에 있어서 주요한 인허가 문서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한국 연구용 원자로(KRR-2) 해체 계획은 2004년 말까지 완료하는 것으로 계획을 세웠지만 빔 포트 튜브의 고방사성 부품을 해체할 원격 장비의 개발 때문에 지연되었다. 2005KRR-2의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가 완료되었으며 DECOMIS라고 하는 폐로 프로젝트의 효율적 관리 툴이 개발되어 폐로 프로젝트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이 시스템은 원자력시설 제염 및 폐로에 관련된 폐기물 발생, 방사선량률 등의 정보를 제공하며 향후 이로 인해 폐로 프로젝트의 효율적 관리가 예상된다.

저자
Eugenijus Uspuras, Sigitas Rimkevicius, Egidijus Babila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84()
잡지명
Progress in Nuclear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41~49
분석자
김*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