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에 대응하는 식품위생 행정
- 전문가 제언
-
○ 1962년 FAO와 WHO의 합동식품규격 작업의 일환으로 설립된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는 전 세계에 통용될 수 있는 식품관련 법령을 제정하는 정부 간 협의 기구이다. CODEX 규격은 강제성을 띠는 것은 아니나 1995년 WTO 체제 하의 SPS 협정과 TBT 협정이 발효되어 범세계적인 공통 규격으로 활용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날로 주목받고 있다.
○ 식품 등의 생산·제조·가공·포장·보존 및 유통 등에 관한 기준과 식품 등의 성분에 관한 규격을 정함에 있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고려한 과학적 기준을 세워야 하며, 국제식품규격위원회의 식품 등 국제적 기준과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 해썹(HACCP)이란 식품의 원재료부터 제조, 가공, 보존, 유통, 조리단계를 거쳐 최종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의 각 단계에서 발생할 우려가 있는 위해요소를 규명하고, 이를 중점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요관리점을 결정하여 자율적이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학적인 위생관리 체계라고 할 수 있다.
○ HACCP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식품 안전 관리 체계로 인정받고 있으며, 미국, 일본, 유럽연합, 국제기구(Codex, WHO, FAO) 등에서도 모든 식품에 이를 적용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배추김치 등 7개 품목의 의무적용 대상 식품에서 연매출 100억 원 이상 식품제조업소의 제조하는 모든 식품이 2017년부터, 주문자상표부착(OEM) 및 위탁생산 식품은 2014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의무적용이 확대되며, 어린이 기호식품 등 8개 품목도 2014년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의무적용이 확대된다. 따라서 HACCP 도입의 확대를 위하여 현장 기술지도, 전문 기술상담 및 적용업체 운영지원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 저자
- Hiroshi Takimo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32(2)
- 잡지명
- 日本食品微生物???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16~121
- 분석자
- 이*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