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te Carlo 모사 및 가상 인체모형 이용 뇌혈관 조영 검사의 의료·직업적 차폐 평가
- 전문가 제언
-
○ 뇌혈관 조영 검사란 뇌혈관 속에 조영제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하여 뇌혈관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법이며, 최근 혈관 조영 검사 및 중재적 방사선 시술은 날로 증가추세에 있다. 그러나 중재적 방사선 시술에서는 장시간에 걸쳐 방사선을 조사하므로 일반적인 방사선 검사에 비하여 환자나 의료진의 방사선 피폭량이 많아진다.
○ 중재적 시술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의 분당 공기커마 면적곱(KAP: air Kerma-Area Product) 권고치는 100m㏉·㎠, 미국의 경우는 투시 방사선 장치의 분당 KAP 참고 기준치를 65.3m㏉·㎠으로 제시하고 있다.
○ 미국이나 유럽의 일부 국가는 중재적 시술에 따른 KAP 값의 범위를 대략 300∼550으로 정하고 있고, 영국의 경우 투시촬영의 경우 단순촬영에 비해 KAP 값을 60∼420배 높게 책정하고 있다.
○ 국내의 경우 혈관 조영 검사 및 중재적 방사선술에 대한 환자 권고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일부 연구에서 국내 뇌질환 조영 검사 시 질환별 분당 KAP 범위가 9∼45 된다는 연구 보고는 있었지만 국가적 차원의 권고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덧붙여 뇌혈관 조영 검사 시 의료진의 피폭 현황에 관해서는 거의 알려진 게 없는 실정이다.
○ 따라서 혈관 조영술 및 중재적 방사선 시술시 환자의 방사선 피폭선량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참고할 수 있는 기준치가 필요하다. 전국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자료를 획득해야 되고 아울러 뇌 부위뿐만 아니라 복부, 심혈관 등 기타 부위에 대한 권고 자료도 마련되어야 한다.
○ 국가적 권고치가 마련되면 각 임상에서 검사를 시행하면서 측정되는 피폭선량을 권고치와 비교하여 시술 절차의 적부 또는 투시시간 및 획득 영상 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환자의 안전 권고치 외에도 의료진의 피폭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한다.
- 저자
- William S. Santo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117()
- 잡지명
-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3~87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