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Lactobacillus mucosae 사용은 요구르트의 기술적 기능성 특성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

전문가 제언

Lactobacillus mucosae 균종들은 돼지, 소 등의 변과 인간 돌창자 관에서 발견되며 이는 혼합발효 젖산균의 대표적 균으로 돌창자의 상피에 견고히 부착하며, 점액 부착 단백질류 및 타 부착소 유사 단백질 발현으로 점액에 부착하는 역할을 한다. 본문의 L. mucosae DPC 6426는 익소폴리사카라이드-생성 균주를 함유한 새로운 프로바이오틱 요구르트로 타 요구르트에 비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저장기간 중 질감 및 레오로지를 향상한다.

 

L. mucosae 균종들은 장 장애물 기능장애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점막표면을 관강내 소화 내용물과 외적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장 상피층은 세포간의 밀착연결 때문에 삼투가 어렵다. 밀착연결 부위는 세포 간 복합체로 장 내용물이 장 점막에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 복합체가 장 세균들과 같은 외인성 요인들과 친 염증성 시토카인에 의하여 파괴되면 상피의 삼투성을 증가시켜 과민성 대사증후군, 만성 염증성 장질환등의 장 장애를 일으킨다.

 

낙농업계에서 젖산균 (LAB)들은 스타터 배양으로 널리 첨가된다. 몇몇 LAB 종들은 익소폴리사카라이드를 생성하여 질감을 개선하면 이수현상을 감소시켜 낙농제품의 기술-기능성을 개선한다. 최근 LAB에 의한 EPS는 콜레스테롤과 식이섬유소와 같은 상호작용을 한다고 알려졌다.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에 “전통 장류로부터 Exopolysaccharide 생성 유산균의 분리 및 특성” 이라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발효식품과와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품공학과의 공저 논문이 2013년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우리나라 전통 장류에서 분리한 유산균 중 EPS 생산 유산균을 선별하였고, 내산성, 인공위액 및 인공담즙 저항성 시험을 통하여 선발 유산균의 장내 생존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며, EPS를 분리, 정제하여 그 특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저자
Lis E.E. Londo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40()
잡지명
International Dairy Jour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3~38
분석자
이*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